라투르의 정치철학 기초개념- 존재양식 5장
원저 : B.라투르, 존재양식의 탐구
실린 곳 : philonatu, philonatu
(한글판) 브뤼노 라투르 2023, 『존재양식의 탐구, 근대인의 인류학』 (황장진 번역) 사월의책. 742pp

(영어판) Bruno Latour 2013, An Inquiry into Modes of Existence: An Anthropology of the Moderns, Catherine Porter (tr.),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486pp

(불어판) Bruno Latour 2012, Enquête sur les modes d'existence: Une anthropologie des Modernes. La Découverte


라투르의 정치철학 기초개념
존재양식 1부 5장

- 해제와 주석 -

최종덕 (독립학자, philonatu.com)




이 원고는 오로지 이 책 『존재양식의 탐구』 한 권만을 위한 해제본임을 밝힙니다.



『존재양식의 탐구 : 해제와 해석』 읽는 지도

① 라투르(Bruno Latour, 1947-2022)의 책, 프랑스 원판(2012)과 영어판(2013)이 출간되고 10년 만에 한글판(2023)이 나왔다. <해제와 해석> 작업이 원래 더 오래 걸릴 일이었는데, 2023년 12월 전문성이 돋보이는 한글 번역판 출간 덕분에 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었다.

② 『존재양식의 탐구』 은 전체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전체의 기초 개념들을 설명하고, 2-3부에서는 정치, 법, 경제 등 구체적인 준주체 존재양식을 다룬다. 1장에서 16장까지 각 장 별로 해제 원고를 차례로 실었다.

③ 챕터 별 서술이 적절한 지 문제를 따질 수 있는데, 이 원고는 이 책 『존재양식의 탐구』한 권만을 위한 <해제>라는 성격에 충실하고자 그렇게 했다.

각 장의 내용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 책의 특성 때문에 개별 장을 따로 읽기가 힘들 수 있다. 개념에 따라 문단을 나누었는데, 문단을 연결하는 비가시적 연결망의 노드들을 체현하려는 시도를 했다.

④ 이 책은 들뢰즈의 몇몇 개념과 라투르 자신의 책들(생태 저작물 이전 시대) 『근대인』,『실험실』,『동맹』,『판도라』 등에서 제안된 용어를 어느 정도 이어받고 있지만 단순 계승이 아니라 변신된 번역화의 작품이다. 그래서 책의 내용도 상당히 압축적이다. de Vries의 책(2016)과 관련 해설서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⑤ 인용 출처는 괄호 안 쪽수 (123)로만 표기했는데, 영어판 출처는 숫자 앞에 * 표시(*124)로, 프랑스 원본의 쪽수 표기는 (** 124) 로 표기했다.




5장 이성으로 포획된 정치적 원circle의 양식으로부터 그 악순환을 끊기: 형식화된 합리성의 직선의 언어 간파하기


존재양식 5장


-------------------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었다
-------------------
1. 근대인이 말하는 유물론은 관념론의 하나다. 물질은 다른 존재자와 교차되어 융합된 결과일 뿐이다.

2. 근대인은 스스로를 주객의 이분화 혹은 1차 성질과 2차 성질이 이분화된 가상 공간에 거주한다고 착각하고 있을 뿐이다.

3. 근대인도 실제로는 이분화 세계에 거주하지 않는다는 점을 라투르는 지적한다. 이는 라투르 전작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었다>에서부터 강하게 언급되었다.

4. 근대인 자신의 합리성을 보장받기 위해 근대인은 과학을 오용하고 있다.(196)

5. 근대인의 특징은 재생산양식[REP]와 지시양식[REF]를 융합시켰다는 데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융합이 아니라 혼동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190)

----------
재생산 양식과 지시 양식의 혼동
------------

1. 물질의 상징과 실체를 혼동하면 안 된다.(189)

2. 재생산양식[REP]과 지시체 양식[REF]의 융합은 결국 물질을 오해하게 된다. 즉 근대인의 몸은 이분화된 세계에서 살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신은 그런 이분화 속에 살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는 중이다.(190) -자연의 이분화와 정신/신체의 이분화, 양쪽의 이분화를 혼동하고 있다.


-------
번역과 전송
--------

1. 번역translation/traduction: 공백의 은유와 비유, 어구 전환, 완곡 표현, 수사적 장식 등의 불연속적 전환(191)을 소화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재생산 존재양식이 창조적으로 생성된다.

재생산 양식은 라투르가 비유한 “변형의 폭포”를 허용하는 번역을 통과해야 한다.(193).

-----
직선의 말하기
-----

1. 직선의 말하기straight talk 는 한글판에서 직설적 말하기로 번역된 것인데, 해제본에서는 ‘직설“이라는 용어 대신에 은유의 상징성이 더 많아 보이는 “직선”으로 사용한다.

2. 언어의 기교나 수사적 장식 없이 이국주의나 도발적 발화 없이 단절과 공백도 일체 없이, 전환과 완곡한 표현도 부정하고 즉흥과 은유도 없이 문자 그대로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다는 말하고 쓰는 방식이 “직선의 말하기”이다.

3. 논쟁의 여지없는 필연성의 전이이며 단순한 전송, 번역없는 전송 혹은 변형을 경계하는 정보전달의 방식을 뜻한다.

4. 여기서 단순전송displacement/translation이란 더블클릭[DC]을 통해 필연성에서 필연성으로 전이할 수 있다는 헛된 믿음으로는 재생산 양식에 접근할 수 없다.

5. 단순전송을 직선의 말하기straight talk (직선의 언어)를 통한 이동이라고 라투르는 표현한 것이다. 이는 스피노자가 거부한 기하학적 방식more geometrico(라틴어 in a geometric manner/style; 스피노자 윤리학에서 처음 제시됨)의 글쓰기로 제한된다.(193)

다시 말해서 기하학적 방식을 채택한 근대인은 모든 존재양식의 품질을 다 놓치고 만다(disqualification).(194) 근대인은 직선의 말하기의 강령에 묶여있다.

-----------
직선의 언어와 굴곡의 언어
------------

1. 더블클릭 [DC] 정보와 직선의 말하기straight talk 옹호자들은 거꾸로 이동, 작동, 불연속성, 공백 등의 존재양식을 거꾸로 비난하고, 거기에 "불완전" 혹은 "평범함"이라는 라벨을 붙인다. 그래서 결국 시인이나 상인 사제나 현자들은 불완전한 존재자로 낙인찍힌다.

그들은 심지어 과학자들까지 비난한다. 스스로를 합리주의자로 자평하는 직선의 언어 옹호자들은 그렇게 불완전하다고 낙인찍는 상대방을 “굴곡의 언어” crooked talk를 사용하여 사람들을 속이고 다닌다고 비난한다.(195)

2. 쉽게 말해서 직선의 말하기에 자만하는 근대인은 직선의 말하기 하지 않는 집단에 대하여 거짓말쟁이나 가짜를 조작하는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구부러진 말하기”의 당사자라고 비난한다는 뜻이다.

3. 물론 진짜 굴곡되고 비뚫어진 사람들은 근대인이지만 말이다.(198)

4. 이런 상황에서 경험 자체가 제대로 표현되지 못한다. 더블클릭은 형식화되지 않는 경험을 부정하기 때문에 진정한 경험을 보지도 못하고 표현도 못하게 된다.(195)


----------------
직선의 언어와 굴곡 언어 사이의 교차, 혼동하지 말아야 할 것들
---------------

(근대인 주장1) 실재의 객체를 기하학적으로 그대로 묘사할 수 있으며 그런 언어화법을 형식화한 것이 근대의 최고 성취한 것이 바로 근대인이 옹호하는 직선의 언어라고 주장한다. 더욱이 자신들의 직선의 언어 사용을 존재론과 인식론을 혼동하지 않기 위한 통로로서, 그들은 자신의 직선의 어법을 "논쟁의 여지가 없는 사실"로 포장하고 합리화시키는 데, 이것이 더 큰 문제다.(209)

(근대인 주장2) 근대인이 비근대인을 비난하기 위해 그들은 비근대인에게 굴곡 언어라는 라벨을 붙어 부정적으로 간주한다. 비근대인이 활용하는 시, 상징, 수사법, 의미번역들, 모두 굴곡된 언어라고 단정지으면서 근대인은 비근대인을 업신여기거나 비난한다.

(비근대인이 본 근대인; 라투르 입장1): 근대인은 객체 묘사에 필수적인 직선 언어의 성취를 자랑하지만, 실제로는 그들의 언어 특히 정치양식의 언어는 직선의 언어를 빙자한 최고의 허위와 거짓의 양식을 가공하고 있다.

(라투르 입장2): 앞의 (근대인 주장2)처럼 근대인이 비근대를 비난하기 위해 활용하는 굴절 언어가 실제로는 근대인의 허구를 깨닫게 하기 위해 연습되어야 할 진정한 존재양식이다. 그래서 [더블클릭]의 유혹을 완전히 거부하기 위해 직선의 말하기라는 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206) 직선의 말하기를 해야 한다는 보이지 않는 억압과 근대인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도 괜찮다.


-------------------
‘융합’amalgam이라는 단어 번역의 문제
------------------

1. ‘amalgam’을 융합이라고 번역을 해서 독자들이 혼돈을 일으킬 수 있다. 여기서 아말감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한 것인데 융합이라고 번역하면 마치 긍정적 연결로 오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말감은 하나가 강제적으로 혹은 권력에 의해 다른 것을 포획해버리는 그런 비난 투의 의미를 포함한다.

2. 예를 들어 정치[POL]는 지식의 연결망(재생산 양식 [REF] 혹은[KNOWLEDGE])을 녹여버려서 무시한다는 뜻이 아말감 용어의 속뜻이다. 그래서 "융합"보다는 "용융"으로 이해하는 것이 전체 흐름에 어울린다.

3. 또 다른 예를 들어 과학지식이 정치권력에 휘둘리는 근대의 모습을 라투르는 경고한다.(196) - "근대인은 공적 논쟁을 종결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을 납치한 사람들이다"라고 라투르는 말한다.(196) 과학이 정치에 아말감 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한 것이다.


--------
정치적 말하기는 거짓과 조작의 기술이라는 말의 의미는?
-----------

1. 정치적 말하기는 합리적 실체 RES RATIOCINANS의 범주와 다르다. 근대인이 만들어 놓은 관념화된 물질에서 촉발된 실체로서 데카르트 실체 이상으로 확장된 합리적 실체이다. 극단적으로 말해서 이런 합리적 실체라는 명분을 앞세워서 군중을 흥분시키고 마녀의 가마솥을 끊임없이 휘젓고 있다고 라투르는 말한다.(198)

2. 이성과 정치의 잘못된 만남을 통해 정치 행위가 자기합리화로 빠진 정치적 말하기를 의미한다.

3. 합리화된 정치적 말하기의 거짓, 조작 기술은 정치적 말하기를 직선의 말하기로 포장했기 때문에 생겼다.

4. 정치적 말하기의 오류는 말하기를 하는 사람의 욕망과 의도에서 나왔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없는 필연성의 문제와는 전적으로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인은 이성을 갖고 말하는 것이라고 억지를 부린다.

5. 정치적 말하기의 현실은 긴급하고urgency 다중적이며multitudes 혼돈의 와류turmoil 속에 있는 문제들을 다루는 것이라서 이상적이거나 이상화된 이데아 혹은 필연적 논리와 무관하다.

6. 정치적 말하기는 이상화된 이데아나 필연성의 논리보다는 경험과 열정의 감정을 통해 집단의 단결과 목표, 의지와 자율성 등 행동능력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7. 여기서 자율성autonomy이라는 말은 의지를 갖고 자유의 행동을 수행하면서도 동시에 의지를 갖고 복종도 하는 이중적 행동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사용된 것이다.(203)

8. 정치적 존재양식은 실제로 직선의 말하기나 지시 양식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갱신과 반복의 운동으로 드러난다.

9. 그런 운동성 안에는 고함과 배신, 일탈과 공포, 불복종과 탈퇴, 조작과 비상상태 등과 같은 수많은 불연속성이 있으며 그런 불연속성이 연속성의 곡선으로 외형화된다.

10. 한편 정치적 말하기는 존재의 단절과 공백을 뛰어넘어 흘러가듯 연속화한다. 연속성의 곡선으로 만들어진 정치는 이성 논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참과 거짓을 정의하는데, 자기생성의 아우토퓌우스autophous의 존재를 보여준다.


-----------------
정치 존재양식의 자기생성의 특성을 접근하려면
-----------------

1. 더블클릭의 기계적 합리성으로 정치적 말하기를 규율잡으려는 시도를 포기해야 한다.

2. 직선의 말하기라는 명분으로 군중을 무질서한 동요 속으로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아고라의 군중들이 원하는 것을 찾아가는 “구비진 말하기”curvature를 배워야 한다. 여기서 “구비진 말하기”라는 표현은 근대인이 비난 투로 말하는 “구부러진 말하기”crooked에 대조법으로 말한 것이다.

3. 정치 양식의 가장 중요한 점은 대중 혹은 아고라(광장)에 모인 대중이다. 여기서 직선의 말하기를 통해서 대중을 해산시켜 버린다면 정치의 의미 자체가 없어진다고 라투르는 의미심장하게 표현한다.


-------------
정치에서 더블클릭을 벗어나려면
-------------

1. 직선의 말하기의 관념은 먼저 삭제해야 한다.

2. 이성과 수사학 사이의 대립을 중용으로 번역해야 한다.



---------------
“직선의 말하기”에서 “잘 말하기”로
---------------

1. 진지하게 권위적 어조를 띄며, 진리조건을 모방하지만 결국 지루함의 언어이다. 진리조건을 모방한다고 하지만 진리의 적정성을 분별하지 못한다.

2. 스스로를 대변하는 사실일 뿐이다. 즉 자기를 말하는 화법에 갇혀서 타자를 허용하지 못한다. 타자를 단절시키고 자기동일성 속에서 자기를 합리화하는 말하기라는 점이다.

3. 근대인의 언어로부터 배운 것이다.

4. 절대적 참의 언어를 강조하지만 우리의 진짜 유일한 언어인 “자연어”를 경멸한다.

5. 필연성에서 필연성으로 연결하는 엄격한 말하기를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그런 동일성의 언어는 현실에서 동어반복 아니면 거짓의 말하기로 되는 것과 같다.

6. 말하기의 진짜 엄격함이란 그런 동일성의 말하기가 아니라 올바른 음조, 즉 컨텍스트를 잘 맞춘 음조로 말하기이다. 잘 말하기란 자기 독백이 아니라 아고라 광장에 모인 타자들의 관심에 귀기울이는 말하기이다. 그것이 정치적으로 잘 말하기의 핵심이다.


---------
절합을 다시 해명하다
---------

1. 절합을 통해서 존재자들의 이음매junctures가 작동된다.(219)

2. 절합은 여러 다양한 존재자들을 이어주는 마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마디가 돌아갈 수 있는 공백을 포함해야 한다. 겉보기에 공백은 불필요한 요소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 이음매 역할에서 가장 중요하다. 우리는 그런 공백이 방향과 의미를 갖는다고 말한다.


------------------
존재양식이라는 용어에 대하여 다시 해명하다
----------------------

1. 존재양식이라는 용어는 앞 장에서 자주 언급한 예술철학자 에티엔 수리오에 의해 도입된 말이다.

2. 존재양식이란 기호와 사물의 이분법을 넘어서 있다. 그리고 인식론과 존재론을 합친 상태에서 설명될 수 있는데, 그런 존재양식은 오로지 “경험”을 통해 접근될 수 있다.

----------------------
이성과 정치의 잘못된 만남(융합)을 해체하기 위해 존재양식을 제대로 볼 수 있는 방법 3 가지
----------------------

1. 전치사가 붙어있는지 확인하다. 자신이 취하는 존재양식이 범주오류인지를 관찰하고 확인하면서 존재자의 음조(뉴앙스)를 무시하지 않고 전치사 양식이 제대로 맞는지를 재검토한다.

2. 궤적과 통과를 추적하는 불연속성 및 공백을 통해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자신의 존재가 연속성이라고 주장하면서 비연속성과 공백과 고유궤적을 다 놓치고 있는 것인지는 아닌지 다시 조사해본다.

3. 존재양식의 적정성 및 비적정성의 조건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다시 말해서 자신의 존재가 참과 거짓이라는 기준이 획일적인 근대인의 기준이 아니지를 되물어보는 적정성/비적정성felicity/infelicity conditions 상태에 맞는지의 여부를 파악한다.(200)


--------------------
정치 양식에서 원circle이란, 정치적 말하기
-------------------

1. 논쟁의 여지없는 필연성의 언어인 직선의 말하기로는 정치적 의도를 표현할 수 없다.(201)

2. 직선의 말하기처럼 보이려고 하지만 실제로는 가장 구부러진 말하기로 변신되는 것이 정치적 말하기의 숨겨진 모습이다.

3. 관념의 이데아로 접근하는 지시의 연쇄 통로는 정치적 말하기의 과제인 긴급성, 다중성, 혼란함의 복잡다난한 문제를 풀지 못한다.(202)

4. 멀리 떨어져 있는 관념적 존재로서 정치를 하려는 이상주의는 참과 거짓이라는 논리적 기준으로 틀리거나 거짓은 아니지만 적정성과 비적정성의 기준에서 적정한 접근법으로 볼 수 없다.

5. 정치는 운동 중에 있으며 그래서 정치적 말하기는 공백을 인식하는 데서 시작된다.(202)

6. 근대인이 보기에 갱신과 반복의 정치적 말하기는 구부러진 양식으로서 거짓의 진위판단으로 귀착되지만, 인류학자가 보기에 갱신과 반복을 통해 공백이 재생산되는 적정성으로 판단된다.(203)

7. 구부러진crooked 말하기가 내부적으로 반복되는 성질인데, 라투르는 이런 성질을 자기순환성autonomy이라고 이름 붙였다. (번역서에는 "자율성"이라고 했는데 그 어조에서 긍정 의미를 보이는 자율성 대신에 부정 의미를 담은 자기순환성이라는 용어를 선택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정치적 말하기는 자유와 복종이 하나의 집단 안에서 자기순환autonomy되는 “감싸는 운동”movement of environment을 되풀이하는 원의 존재양식을 보여준다는 듯이다.

8. 감싸는 운동과 자기순환성이라는 점에서 정치양식을 "원"circle의 존재자 양식이라고 라투르는 표현했다.(203) 다시 말해서 자유와 복종의 행동이 반복으로reprise 갱신되는 감싸기 운동이 정치의 존재양식이며 이 양식을 설명하는 데 “원”circle 개념이 도입된다.(203)

9. 다르게 표현한다면 정치 양식은 항상 자신의 언어로 상대에 대하여 참과 거짓을 판정해버린다는 점에서 자기 회귀적인 원의 양식이다.(204)

10. 물론 정치적 말하기가 없으면 집단도 없다. 정치는 집단을 통해서 구현된다.(204) 정치적 말하기가 위선의 집단이라는 사실을 폭로하는 것 자체를 근대인은 원하지 않는다.(205) 이 점은 라투르 정치철학에서 아주 중요하다.

11. [정치적 말하기]와 [더블클릭]이 만나면 더 나쁜 괴물이 만들어진다.(205) 더더욱 정치양식 자신의 원 안에서 투명성과 진실을 추구한다는 위선된 명분을 겉으로 내세우지만(205) 실제로는 정치현장의 고함과 조롱, 모략과 아부, 배신과 이탈, 허세와 조작, 거짓과 위선들을 더 키운다는 뜻이다.(204)

12. 직선의 말하기나 지시[REF]가 원의 존재양식을 판단하는 데 적절하지 않은데, 다시 말해서 고함과 배신, 일탈과 공포, 불복종과 탈퇴, 조작과 비상상황 유도 등과 같은 불연속성과 공백이라는 운동의 반복인 원의 존재양식을 해명하지 못한다.

13. 정치적 말하기는 “스스로를 대변하는 사실”facts that speak for themselves로 표현되기 때문에 말 그대로 원의 존재양식이다.(*144)

14. 정치적 말하기는 자기순환의 원 운동을 하면서도 동시에 정치적 존재양식은 아우토퓌우스autophous라는 자기생성self-engendering의 힘을 갖고 있다.

15. 그렇다고 정치적 말하기가 참과 거짓에 무관심하고 무관하다는 뜻이 결코 아니다.(204) 이 점을 오해해서는 안 된다. 근대인이 표현한 그대로 정치적 표현이 구부러진 말하기라는 뜻을 받아들이면서도, 정치의 구부러진 말하기가 정치의 객관적 지식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고 라투르는 강조한다.(206) 정치적 존재양식의 비이성을 과대평가하면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16. 정치 양식의 ‘원’(그들만의 권력 서클)에 대하여 12장 해제에서 구체적이고 노골적으로 설명된다.


-----------
분석과 “잘 말하기”
-----------

1. 분석철학의 "분석"은 방법론적으로 옳았다. 그러나 계몽이라는 간판을 달고 "분석"이 존재를 지배해버린 더블클릭의 믿음으로 실제의 존재양식은 사라졌다.(207) 더블클릭은 정보가 공백이나 불연속성, 번역을 통과해야 한다는 것을 완전히 부정하기 때문이다.(208)

2. 분석언어로는 "잘 말하기" speak well를 할 수 없다.

3. 근대인은 분석언어를 통하여 번역과 맥락에서 독립적으로 참이 되는 언어를 기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언어의 엄격성with rigor 을 추구함으로써 필연성에서 필연성으로 진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런 진전을 하지 못하는 자연어는 적합하지 않은 비합리성의 존재라고 그들은 주장한다.(*139)

4. 실제로는 그런 엄격성이 오히려 타당하지 못하다는 것이 라투르의 역공격이다. 분석언어가 아니라 적절한 음조(tonality; 뉴앙스)를 가지고 상대에게 관심을 갖는 것이 진짜 엄격성이고 그런 말하기가 진짜 "잘 말하기"라고 라투르는 역설적으로 말한다.(*139)

5. 변형과 이동, 은유와 변신이 가득한 자연어를 무시함으로써 필연성을 필연성으로 바꿀 수 있다는 합리주의에 빠지고 있다.


------------
존재론적 다원주의 그리고 존재양식들
-----------

1. 기존 근대인은 사물을 합리적 실체에 기반한 외부세계로 정의했다.

2. 근대인은 물질이라는 관념을 "논쟁의 여지없는" 필연성을 찾아가는 실체로 잘못 생각했다.

3. 진위 여부를 더블클릭이라는 직선의 언어로 표현하는 존재의 획일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 존재양식은 다양하다.

4. 다양한 음조를 통해서 다양한 존재양식은 그 각각 고유한 진리판단의 원리(principle of veridiction)를 가지고 있다.(*143)

5. 존재양식의 특징으로서 (1) 비분절의 세계와 분절의 언어가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으며, (2) 기호와 사물 사이의 구별이 없으며, (3) 관계의 끈이 가까우면 마치 실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4) 반대로 그 관계가 너무 멀면 비실재로 여겨진다.too remote it is not the real thing. (*145)는 점이 있다.

-----------
근대인의 환상에서 벗어나 ‘잘 말하기’ 연습하기
-----------

1. 오캄의 면도날은 하나가 아니라 다원적 세계의 존재를 인정해야 한다.

2. 직선의 말하기 그리고 원의 존재양식의 속뜻을 이해해야 한다.

3. 진리판단은 유일하지 않고 단일하지도 않음을 깨닫는다.

4. 말과 세계, 지식과 세계, 인식대상과 인식주체를 더 이상 구별하지 않는다.

5. 물질의 단일실체론에서 벗어나고 분절된 언어에서 벗어난다.(*149)

5장 해제 끝


되돌아가기

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