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투르가 지적한 근대인의 오류- 존재양식4장
원저 : B.라투르, 존재양식의 탐구
실린 곳 : philonatu, philonatu
(한글판) 브뤼노 라투르 2023, 『존재양식의 탐구, 근대인의 인류학』 (황장진 번역) 사월의책. 742pp

(영어판) Bruno Latour 2013, An Inquiry into Modes of Existence: An Anthropology of the Moderns, Catherine Porter (tr.),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486pp

(불어판) Bruno Latour 2012, Enquête sur les modes d'existence: Une anthropologie des Modernes. La Découverte


라투르의 존재양식 1부 4장
근대인의 오류 3가지

- 해제와 해석 -

최종덕 (독립학자, philonatu.com)




이 원고는 오로지 이 책 『존재양식의 탐구』 한 권만을 위한 해제본임을 밝힙니다.



『존재양식의 탐구 : 해제와 해석』 읽는 지도

① 라투르(Bruno Latour, 1947-2022)의 책, 프랑스 원판(2012)과 영어판(2013)이 출간되고 10년 만에 한글판(2023)이 나왔다. <해제와 해석> 작업이 원래 더 오래 걸릴 일이었는데, 2023년 12월 전문성이 돋보이는 한글 번역판 출간 덕분에 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었다.

② 『존재양식의 탐구』 은 전체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전체의 기초 개념들을 설명하고, 2-3부에서는 정치, 법, 경제 등 구체적인 준주체 존재양식을 다룬다. 1장에서 16장까지 각 장 별로 해제 원고를 차례로 실었다.

③ 챕터 별 서술이 적절한 지 문제를 따질 수 있는데, 이 원고는 이 책 『존재양식의 탐구』한 권만을 위한 <해제>라는 성격에 충실하고자 그렇게 했다.

각 장의 내용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 책의 특성 때문에 개별 장을 따로 읽기가 힘들 수 있다. 개념에 따라 문단을 나누었는데, 문단을 연결하는 비가시적 연결망의 노드들을 체현하려는 시도를 했다.

④ 이 책은 들뢰즈의 몇몇 개념과 라투르 자신의 책들(생태 저작물 이전 시대) 『근대인』,『실험실』,『동맹』,『판도라』 등에서 제안된 용어를 어느 정도 이어받고 있지만 단순 계승이 아니라 변신된 번역화의 작품이다. 그래서 책의 내용도 상당히 압축적이다. de Vries의 책(2016)과 관련 해설서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⑤ 인용 출처는 괄호 안 쪽수 (123)로만 표기했는데, 영어판 출처는 숫자 앞에 * 표시(*124)로, 프랑스 원본의 쪽수 표기는 (** 124) 로 표기했다.




4장 기하학에 빼앗겨버린 공간을 되찾아오기: 합리주의 마법을 푸는 ‘경험’이라는 해독제



------------------------------------------------------------------
근대화와 생태화 – 근대화modernize 대안으로서 생태화ecologize 가능성 타진
------------------------------------------------------------------
1 재생산 존재양식을 강조한다.

2. 재생산 양식이 연쇄 없는 지시 양식으로 혼합되어 어떻게 오도된 "물질"을 만들게 되었는지 관찰한다.

-------------------------------------------------------
근대의 지시 양식 [REF] - 연쇄없는 지시체들의 존재양식
-------------------------------------------------------
1. 실증주의 과학은 지시 양식 메뉴에 따라 파드되pas de deux(춤추는 두 사람)를 단순한 대응 배역으로 간주한다.

2. 원자 양성자, 유전자, 세포, 생명개체, 행성, 우주들의 존재를 단순 물체로 간주하는 환원주의의 거대서사로 간주한다.(155)

-----------------------------------------------------
연쇄 없는 지시체 -> 연쇄 지시체 -> 재생산의 양식[REP]으로
-----------------------------------------------------
1. 차이로 가득한 세계와 만나는 통로가 바로 재생산의 존재양식이다.

2. 재생산 양식은 인간만이 아닌 비-인간의 행위를 포함한다.

3. 객관성으로 결정되지 않는 포괄적 세계까지 이해하는 통과과정을 거친다.(156)

4. 단순 지식의 조연이나 공범으로 오인되고 싶지 않은 것이며(156), 세계와 사물그리고 나는 재생산 양식이라는 하나의 무대에 올려져 같이 춤추는 배우들이다.

----------------------------------------------------------
재생산의 존재자 [REP] 를 인식하는 길 두 가지: 힘의 선과 계보
----------------------------------------------------------
1. 재생산 존재양식은 가시적이고 단위로 존재하며 경계로 구획되어 일정 공간을 차지하는 데카르트 식의 물질의 존재양식이 아니다. 재생산 양식을 물질처럼 이해한다면 그것은 범주오류이며 적정성을 벗어난다. 재생산 양식은 관계와 과정 그리고 교차에서 생성되는데, 그 생성방식은 ‘힘의 선’lines of force이다.

2. 물리학에서 힘의 선은 그 자체로 활성적 존재자는 아니지만 그런 힘을 거쳐서 모든 존재가 생성되는 보이지 않는 궤적이다. 존재가 그 궤적을 타는 방식은 반복repetition과 양quantity의 성질을 갖는다. 물리학에서 힘은 이런 반복과 자기증식의 결과이다. 다시 말해서 반복과 양의 관성의 결과가 힘이다. 그 힘은 시간경로에 따란다.
3. 계보 lineages : 4장에서는 계보에 대해 자세히 언급되어 있지 않다. 3부에 다시 나올 것이니 그때 다시 적정한 설명을 시도하기로 한다.

---------------------------------------------------
라투르가 말하려는 가치가 무엇인지 확실히 파악하지 못했다.
----------------------------------------------------
1. 탐구(AIME)는 근대인들이 소중하게 여긴다고 말하는 일련의 '가치'(의도적으로 구식인 용어)를 섬세하게 추출하려 한다. 하지만 이러한 가치들이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하면 서로의 차이를 존중하고 다른 가치들을 이해하려는 구체적인 행동력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지 않다. 원칙론은 충분히 서술되어 있지만 구체적 사례가 없어서 이해하기 어렵다.

2. 15장과 16장 해제에서 가치 양식이 자세히 논의된다. 그때까지 미루자.

-----------------------------------------
존재양식modes of existence과 참여(비인간행위 포함)의 연결망
-----------------------------------------
1. "존재양식"이란 진리진술이 각각 다른 존재 형태들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어떤 집단이나 개인의 존재양식에 대해 말할 때 그들이 지닌 관습, 존재 방식, 행동유형, 서식지, 장소 등을 언급하며 존재양식을 서술한다. 이 책 AIME에서 이런 태도를 유지하지만 '양식'과 '존재'라는 두 개념은 특정 집단이나 개인을 향한 관심이 아니라 그들 사이의 관계를 통해 확장된 존재들(beings)에 관심을 갖는다.

2. 그래서 존재가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대하여 해당 존재만을 탐구해서는 답을 낼 수 없으며 단지 그 존재가 다른 외적 환경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세심히 관찰하여야 한다. 이때 세밀히 관찰한다는 뜻은 제3자 방관자로서 존재를 본다는 것이 아니라 그 존재와 그 연결망에 참여한다는 점을 포함한다.


***************이에 관련한 라투르 문헌 3 개

Bruno Latour, Reassembling the Social: An Introduction to Actor-Network-The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Bruno Latour, "Coming Out as a Philosopher," (Social Studies of Science 2010 40(4)): 599-608 라투르, 철학자로 선언하다.

Bruno Latour, Rejoicing: the Torments of Religious Speech, (London: Polity), 63.

-------------------------
힘의 선(lines de force)
-------------------------
1. 연결(association)하는 양식: 힘의 선은 단순히 사물 간의 상호작용이나 영향력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고 서로를 변화시키는 역동적 관계다.

2 이질성(heterogeneity)의 양식: 힘의 선은 인간, 사물, 기술, 이념 등 다양한 요소가 얽혀있는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각 요소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힘의 선을 통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형될 수 있다.

3. 과정(process)의 양식: 힘의 선은 고정된 구조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변화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어떤 요소가 네트워크에 추가되거나 제거되면, 전체적인 관계도 재구성된다.

4. 힘의 선은 에너지 흐름이나 힘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어떤 방향으로 변화가 일어날지를 예시한다. 힘의 선을 따라 가면 특정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5. 라투르는 "힘의 선"을 통해 과학, 기술, 사회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과학 기술 발전은 단순히 과학자들의 두뇌 활동만으로 설명되지 않고, 실험장비, 이론, 사회적 맥락 등 여러 요소가 얽혀있는 힘의 선을 통해 이해된다는 뜻이다.

----------
계보
----------
1. 힘의 선들이 반복과 양의 방식으로 드러난 것을 물질세계라고 부르는데, 실제로 물질은 독립된 개체로 존재하기보다 역사적 경로 안에서 연결망을 형성한다. 그런 존재양식은 계보를 따르면서 재생산에 참여한다.(158-9) 다시 말해서 힘의 선이 특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선들이 모여서 하나의 사상이나 사물을 형성하는데, 그것이 계보다. 계보는 힘의 선으로 짜여진 지도(map)와 같다. 특정한 사상이나 사물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보여주는 지도와 같다는 뜻이다.

2. 힘의 선은 계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새로운 힘의 선이 등장하거나 기존 힘의 선이 변화하면, 계보도 함께 변화한다. - 확인필요

----------------------------------------
존재자의 생존 – 유물론에서 관념을 제거하기
----------------------------------------
1. 근대인이 보는 물질은 지식의 요건과 생존의 요건을 구분하지 못하고 뒤섞는 융합의 합성composite 장치로 태어난 것이다.(164)

2. 그런 물질관의 관습에 빠진 근대인은 자신을 유물론자라고 믿는 사람이다. 근대인 혹은 근대인이라고 자처하는 사람들에게서 물질은 정신의 가장 관념적인 산물이다. 근대인은 바로 그런 믿음 때문에 절망에 빠지게 된다.(164)

3. 이런 절망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물질을 탈관념화de-idealize 해야 한다는 것이 라투르의 기본입장이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살아갈 공간living space를 재정복할 수 있다고 라투르는 말한다.(164)

4. 존재자의 생존subsistence은 관념적 실체에 의해 보장되지 않는다. 생존을 위하여 초(월)세계의 실체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하며 초월성이 아니라 경험적 공백을 뛰어넘는 창의성으로부터 겨우 존재의 생존이 가능하다.(159)

-------------------------------------------------
근대인 살고 있다는 3+1 차원의 세계, 새로운 정착지 찾기
--------------------------------------------------
1. 라투르가 말하는 3+1차원은 관념과 개념에 의해 만들어진 세계를 말한다.(161) 구체적 경험과 동떨어진 근대인의 개념 세계를 뜻한다.

2. 이제 근대인은 거꾸로 현실의 법, 도덕, 이야기, 정치, 경제, 종교 등 현실적인 존재양식들이 4차원의 이성 범주 안으로 왜 들어오지 못하고 있는지를 되려 걱정하고 있다. 그러나 인류학자는 이런 근대인의 걱정 자체가 바로 범주오류임을 지적한다.(162)

3. 근대인은 지구를 정복했지만 여전히 그들은 어디에도 살 곳을 찾지 못한 채 정착지를 찾아 헤매고 있다.(162)

4. 티비에서 보듯이 "자연인"을 동경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이유는 근대인의 상실된 유토피아가 바로 거기에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들이 바로 근대인이다. 근대인이 부러워하는 토착민, 혹은 원주민 혹은 "타자들"로 되돌아가고 싶어 한다. 4차원 근대를 뽐내면서 3차원 비근대를 멸시하던 근대인이 왜 거꾸로 3차원의 자연인을 공경하는 것인지 근대인의 아이러니이다. 그러나 여기에 공포가 숨어있다고 라투르는 말한다.(163)

5. 근대인은 애초에 집을 떠난 적이 없었고 4차원의 세계에 살았던 적도 없음을 지적한 것이다. 근대인이 만약 원주민의 집을 회복하려는 순간 새로운 야만성이 창조된다는 것이다. 이 점이 가장 중요한 라투르의 역설이다. 실제로는 근대인이 4차원 세계에 살았던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근대인이였던 적이 없다")

---------------------------------------
형식form 관념을 실천으로 재묘사할 수 있나?
---------------------------------------
1. 발굴현장에서 채취한 표본을 탈지면에 조심스럽게 두른 다음에 설합에 넣는 일이 바로 형식화하는 것이다.(167)

2. 형식은 다양한 변형을 통해 세계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세계는 형식의 변형을 통해 세계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형식은 접근제공자access providers이다.

3. 여기서 말하는 ‘형식’과 6장에서 말하는 ‘형식’은 다르기 때문에 조심해서 읽을 필요가 있다.

----------------
형식의 종과 횡 ---->말로는 이해되는데 절실한 느낌을 갖지 못하고 있어서 나중에 추가함.
------------
1. 횡적 형식을 통해서 장치를 다른 관찰대상(지시체)에로 더 넓게 확장할 수 있다.

2. 종적 형식을 통해서 변형을 거치게 되고 결국 장치의 접근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즉 자료(관찰데이터; 여기서는 지시체)의 불변성(정확성)을 관찰자에게 가져올(이동) 수 있다.(168)

3. 형식의 확장에서 라투르는 지식에 끝이 없다고 말한다. 예를 들자면, 구글 맵 위에 손가락으로 주~욱 드래그하여 시베리아 구석 동네까지 훤하게 볼 수 있는데, 이는 손가락 끝에 지구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 이런 점에서 형식의 접근성이 높아진다는 말이다.(168)

4. 그러나 형식의 결과가 확정되고 고정된 것으로 판단하면 더 위험해질 수 있다. 접근된 것은 지시체의 단면일 뿐 전체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169-170)

-------------------
재생산의 존재양식
-------------------
1. 고양이나 효모 같은 자연의 개체들은 힘의 선이나 계보들을 타고 가면서 도약, 공백 혹은 불연속성을 통과해야 하는데 그런 통과된 존재를 재생산의 존재라고 말했다. 재생산 존재양식은 타자성을 요구한다.타자성은 존재자의 불연속을 뛰어넘게 해주는 일종의 경험의 지지대이기 때문이다. 타자의 지지대 없이 존재를 동일성으로 포장하려면 어쩔 수 없이 관념의 실체를 도입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실체 도입이 근대인 사유의 뿌리다.(171)

2. 라투르는 "재생산의 존재"라는 말을 통해 과학 자체가 세계의 또 다른 존재 방식이라고 했다. 따라서 과학 네트워크는 세계가 과학과 과학적 실천(과학탐구행위)에 의해 재생산되고 변형되는 장비와 수학식을 통해 지시체 사슬chains of reference을 매체 기반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재생산 존재양식은 그 자체로는 물질적이지 않으며, 습관, 언어, 구조 등으로 구체화되는 힘의 선으로 구성되는 만큼 확실히 "실체적"이 아니다.

3. 근대인은 재생산 존재와 지시체 존재를 혼동하고 있다. 이런 혼동은 물질이 "이중 범주오류"double category mistake 로 인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즉 추상적으로 만들어진 관념화된 물질 범주를 경험적이고 연결망으로 실재하는 물질 범주로 오해하는 혼동이 바로 근대인의 가장 큰 오류를 낳았다고 라투르는 지적한다.

4. 지시물의 불변가동성the immutable mobiles of reference은 지식의 확장을 가져다주어 사물의 연결망으로 안내할 수 있지만 연결망에 접속하는 통과에 다다르지 못한다는 점에서 재생산 존재beings of reproduction와 다르다.

--------------------------------------
라투르가 지적하는 근대인의 오류 3 가지
--------------------------------------
1. 물질에 대한 근대인의 오해: 데카르트에서 물질은 연장 실체로 되면서, 물질이라는 관념이 등장했다. 물질 실체의 등장은 범주오류이지만 말이다. 근대인은 이제 물질 사유를 통해 실제 사물을 기술한다고 믿게 되었다. 실제로는 사유의 실체가 물질을 상상한 것에 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근대인은 그 물질을 실체(substance이면서 동시에 reality)로 믿었다는 점이다.(171) 물질은 사유 실체가 아니지만 연장 실체도 아니다.(175)

2. 일차성질과 이차성질의 이분화bifurcation: 일차성질은 원본의 성질을 객관화한 것이고, 이차성질은 주관적 성질이라고 한다. 이러한 구분으로부터 자연은 이분화된다.bifurcation 이는 화이트헤드 철학의 기초이다. 실재한다고 믿는 일차성질과 실재하지 않고 단지 감각작용의 현상이라고 믿는 이차성질의 이분화는 근대철학의 기형아다. 이런 이분화로 인해 앞서 말한 (변형을 허용하지 않는) 단순 이동, 논리적 인과론, 무경험의 관념 등의 세계가 만들어졌다고 라투르는 비판적으로 말한다.(178)

3. 교차 없는 단순 운반(전송): 고립된 지시체 안에서 세계와 지식 사이의 대응을 기반으로 한 지식이 근대인의 지식관이다. 이런 대응론 지식은 번역translation의 양식 없이 단지 단순 전송displacement 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교차 없는 단순 운반에 지나지 않는다.(172)

-----------------------------------------
연결망 이해가 과학의 실질적 성과를 높인다.
-----------------------------------------
1. 현실 과학자의 태도와 과학적 발견의 성공도는 이런 연결망을 이해하는 과학자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 반대로 고립된 지시체, 단절된 물질로 세계를 인식하는 과학자는 실제로 연구현장이나 실험실현장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얻기 어렵다.

2. 과학의 탐구대상이 그렇게 단순하게 대응론적 지식(라투르는 이런 지식을 좀비같은 사물과 대응되었다고 믿는 지식이라고 표현한다)으로 획득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과학 연결망의 이동(변형을 통한 이동, 모바일)은 손목의 맥이 뛰는 것만큼이나 경험적이라고 라투르는 강조한다. 그래서 이런 경험적인 것을 무시하고 순진한 기계론적 대응론에 속아 넘어가는 과학자는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180)
3. 과학사회학의 보내는 제안서와 같다. 현장과학의 현실적 태도를 강조한 라투르의 강점이다.

-------------------------------------------------
양식good sense에서 벗어나서 상식common sense으로
-------------------------------------------------
1. 굳센스는 근대성 중심으로 이뤄진 표면적이고 실증적인(단순하고 변형없는 방법론) 결과를 얻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이런 굳센스는 결국 세계의 존재자 접근에 실패한다.

2. 반면 상식으로 접근하는 화이트헤드 방식의 상식세계common-sense world는 도약, 불연속, 공백을 다 읽어내는 다중적이고 복합적인 존재자의 세계를 접근할 수 있다. 불행히도 근대인은 가상의 합리적 실체 속에 "잠겨서" 생각하는 습관 때문에 상식세계를 못보고 있다.(183)

----------------------------
근대인의 물질론과 합리주의
----------------------------
1. 근대인은 물질을 세계를 구성하는 한 조각으로 여긴다.

2. 근대인은 물질을 연장-사유 실체라고 보면서 자신을 주체로서, 지시체 존재를 객체로 믿기 시작한 이상한 배경도법scenography을 만들었다.

3. 이러한 이상한 배경도법이 바로 "합리주의 마법"이라고 라투르는 꼬집어 표현한다.(180-1)

4. 근대인의 묘사법을 합리주의라고 하는데, 이런 합리주의는 이차성질이 갖는 비실재적 묘사(마법으로 얻은 성취감의 효과가 아닌)를 보일 수 없다.(181)


--------------------------------------------------
근대인은 마법으로 얻은 성취감에 왜 그렇게 빠져 있을까?
--------------------------------------------------
1. 근대인이 근대인으로 되는 동기, 즉 근대인의 정체성에 빠져있는 이유는 분명히 있다. 필연성의 조건들(기학학으로 산술적 답이 보이는 필연의 형식), 통로 없는 세계(형식과 질료를 이분화하거나 혹은 그 둘을 서로 혼동하는 증상), 연결망 없는 지시체들(이 세상 외부의 모든 노이즈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는 실험실 유토피아의 신념), 변형 없는 전이로 구성된 세계를 접수하는 일은 그 이득이 엄청나기 때문에 근대인의 근대적 작용이 발생했다는 현실을 무시할 수 없다.(181)

2. 그런데 이런 현실이 오늘의 전지구적 생태위기를 초래하게 되었다는 점도 현실이며, 후자의 현실은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위급한 현실이다.

------------------------------
물질 개념에 대한 라투르의 조언
------------------------------
1. 근대인은 물질이 실재real things를 기술한다고 믿었는데 실제로는 물질 자체가 아니라 물질에 대한 사유이며 그것은 사유작용이 물질을 상상해내는 방법에 지나지 않는다.(*110)

2. 진짜 물질은 제도이며 조직이고 힘의 분배 등을 포괄한다.

3. 존재자와 물질을 혼동하면 안 된다. 합리성이라는 핑계로 존재자와 물질을 혼동하여 존재를 물질의 홍수에 빠트리고 있다.

4. 더 나아가 물질은 자신을 확장하려는 욕구가 있기 때문에 물질은 존재의 공백이나 변형을 무시한 채 인과론이라는 이성의 끈으로 모든 존재자에 침투하려 한다(침투한다)고 라투르는 경고한다.(182)

5. 그런 합리적 실체가 현실 공간에 속하지 않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라투르는 강조한다. 이제 우리가 살 수 있는 공간을 되찾아 와야 한다.

4장 해제 끝




되돌아가기

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