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ANT의 강점과 약점- 2장 해제 |
원저 : B. 라투르, 존재양식의 탐구 |
실린 곳 : philonatu, philonatu |
(한글판) 브뤼노 라투르 2023, 『존재양식의 탐구, 근대인의 인류학』 (황장진 번역) 사월의책. 742pp (영어판) Bruno Latour 2013, An Inquiry into Modes of Existence: An Anthropology of the Moderns, Catherine Porter (tr.),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486pp (불어판) Bruno Latour 2012, Enquête sur les modes d'existence: Une anthropologie des Modernes. La Découverte 라투르의 존재양식 2장 - 해제와 해석 - 인터넷 자유판 최종덕 (독립학자, philonatu.com) 이 원고는 오로지 이 책 『존재양식의 탐구』 한 권만을 위한 해제본임을 밝힙니다. 『존재양식의 탐구 : 해제와 해석』 읽는 지도 ① 라투르(Bruno Latour, 1947-2022)의 책, 프랑스 원판(2012)과 영어판(2013)이 출간되고 10년 만에 한글판(2023)이 나왔다. <해제와 해석> 작업이 원래 더 오래 걸릴 일이었는데, 2023년 12월 전문성이 돋보이는 한글 번역판 출간 덕분에 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었다. ② 『존재양식의 탐구』 은 전체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전체의 기초 개념들을 설명하고, 2-3부에서는 정치, 법, 경제 등 구체적인 준주체 존재양식을 다룬다. 1장에서 16장까지 각 장 별로 해제 원고를 차례로 실었다. ③ 챕터 별 서술이 적절한 지 문제를 따질 수 있는데, 이 원고는 이 책 『존재양식의 탐구』한 권만을 위한 <해제>라는 성격에 충실하고자 그렇게 했다. 각 장의 내용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 책의 특성 때문에 개별 장을 따로 읽기가 힘들 수 있다. 개념에 따라 문단을 나누었는데, 문단을 연결하는 비가시적 연결망의 노드들을 체현하려는 시도를 했다. ④ 이 책은 들뢰즈의 몇몇 개념과 라투르 자신의 책들(생태 저작물 이전 시대) 『근대인』,『실험실』,『동맹』,『판도라』 등에서 제안된 용어를 어느 정도 이어받고 있지만 단순 계승이 아니라 변신된 번역화의 작품이다. 그래서 책의 내용도 상당히 압축적이다. de Vries의 책(2016)과 관련 해설서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⑤ 인용 출처는 괄호 안 쪽수 (123)로만 표기했는데, 영어판 출처는 숫자 앞에 * 표시(*124)로, 프랑스 원본의 쪽수 표기는 (** 124) 로 표기했다. 2장 해제: 오류에서 벗어나려면 참과 거짓이 판정되는 범주유형과 컨텍스트를 먼저 알아야. --------------------------------------------------------- 일차오류first-degree mistakes, 해석의 키 interpretive key --------------------------------------------------------- 1. 대화자 사이의 키[KEY]가 같더라도 다른 관찰방식(관점)으로 대할 경우 다른 감각으로 수용될 수 있다.이는 편향의 오류"를 일으킨다. 이런 오류를 일차오류라고 한다. 2. 일차오류는 감각오류로서 범주 가이드를 잘못 받아 생긴 오류이다. 예를 들어 관찰수단이 다르기 때문에 생긴 오류 들은 교정가능한 지식이며, 이를 동일성 해석의 키라고 한다. 범주가 동일한 경로에서 생길 수 있는 오류라서 그 오류에 대한 교정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이런 감각오류는 어려워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일차오류에 해당한다.(87). 3. 객관적 지식을 추구하면서 잠정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이렇게 지식의 경로에 관련된 오류라서 이를 인식론적 경로에서 일어난 오류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오류는 논란을 불러일으키거나 큰 비용이 들지만 어쨌든 잠정적이나마 종결될 수 있다.(91) 오류가 수정되더라도 아마 영원히 잠정적 해결일 수 있다. 왜냐하면 객관적 지식이란 언제든지 새롭고 다른 지식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 이차 오류 second-degree mistakes --------------------------------------- 1. 해석의 키가 위치한 경로가 동일하지 않고 키 자체가 다른 경로에 있는데서 오는 오류이다. 즉 범주 오류가 이차오류에 해당한다. 2. 존재 양식이 갖는 감각오류(일차오류)가 아니라 양식 자체를 바라보는 불확실성에서 오는 오류를 말한다. 감각sense오류가 아니라 방향direction오류이다. 감각의 오류를 제거해도 방향의 오류는 남는다.(91) 3. 방향오류는 교정되기 쉽지 않다. Ryle의 범주오류처럼 소르본느 대학을 찾아가는 데 길을 잘 못 드는 실수를 하여 건물을 못 찾는 수준이 아니다. 그런 오류는 단순 실수이고 일차오류이며 안내자의 도움을 받아 교정할 수 있다.(안내를 받거나 지도를 꼼꼼이 보면서 본관 건물을 다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방향오류는 그런 실수가 아니라 대상을 접근하는 방향 자체에서 문제가 된 오류이다.(89) 소르본느 대학 내의 수많은 건물들을 지금 보고 있으면서도 소르본느 대학이 어디에 있냐고 묻는 질문과 같다. 4. 법원 소송에서 내가 소송에 이겨도 내가 피해 받은 심적 고통을 해결하지 못한다. 나는 승소했지만 그동안 피해받은 상황을 되돌려 원점으로 돌릴 수 없기 때문이다. 직장상사나 정치권력자와 마주하는 일상생활인의 경우 권력이 강한 상대가 거짓을 일삼아도 나는 그에게 충고 한마디를 솔직하게 말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 권력의 비밀에 갇힌 나는 여전히 방향오류에 있다.(89) 탐구 경로가 다르다는 것이 바로 방향의 오류이다. ------------ 참과 거짓이란 ------------ 1. 양식마다 다른 진리진술verdiction(진리판단 근거) 여러 타입이 있다. 양식 내부에서 말하는 진리진술은 동일 양식, 동일 경로에서 판단되므로 오류의 원인 자체에 대한 오류에서 벗어나기 어렵다.(92) 2. 법정에서 판사가 판결하는 옳고 그름은 그것이 아무리 객관적이라도 "법적" 존재양식 내부에서 내려진 결과일 뿐이다. 3. 법적 틀이 아닌 포괄적 큰 틀에서 혹은 틀 밖에서 타 외부 요소들, 권력편향이나 보이지 않는 계급화의 차이 등에서 오는 경로 외 오류로 말미암아 법정 내부의 판결의 진위는 이차오류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없다.(94) 4. 참과 거짓의 잣대는 특정 존재양식의 내부에서 정해지는 것이 근대인의 현실이다. -------------------------------- 적정성 상태Felicity conditions 비적정성 상태 Infelicity conditions -------------------------------- 적정성: 혹시 상이한 범주에서 개념을 다루는 것은 아닌지 잘 관찰하여 적정한 범주를 확인하는 일이 중요하다. 각각의 존재양식은 나름대로의(고유한) 적정성 기준을 가지고 있다. 존재양식1의 적정성 잣대로 존재양식2의 진리판단을 할 수 없다는 뜻이다. 비적정성: 가시적이고 근대인이 소위 객관적이라고 하는 사유의 수단으로 오류를 제거했다고 할 때 그 오류는 일차오류에 해당할 것이다. 범주 안의 일차오류는 없어졌어도 범주 밖 이차오류는 여전히 잔존할 수 있다. 이차오류를 그대로 안고 간다면 사로 다른 범주 사이에 비적정성 오류가 혼란을 일으킬 수 잇다. 해당 범주 밖, 다른 범주의 문제라서 생기는 오류, 즉 비적정성 상태에서 객관성의 기준은 동의되기 어렵다. 동일 대상이라도 다른 각도에서 다른 음조로 드러난다.(97-8) 화해: 라투르의 적정성 문제는 그 용어의 정의를 하고 끝내는 데 있지 않다. 다른 영역, 다른 존재양식 사이에 단절이나 고립이 아닌 네트워크가 형성될 때 각기의 존재양식 사이에서 비적정성 상태가 어떻게 화해될 수 있는지를 관찰하는 일이 중요하다. ------------------------------ 전치사 존재양식 [PRE] Preposition ------------------------------ 1. 명제가 진술된다는 것은 그 명제가 어떤 위치를 차지하여 진술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한다. 그 명제는 자신의 위치를 통해서 자신의 의미가 전달되고 파악될 뿐이다. 2. 명제의 방향을 제시하는 전치사 존재양식[PRE]은 해석의 키interpretive key와 같다. 특정 범주마다 고유한 범주 내부 해석방식이 다르듯이 전치사 존재양식은 그렇게 다른 범주의 방향을 알려준다. 3. 전치사를 통해서 그에 따라붙는 개념의 관계유형이 이해될 수 있다. 4. 전치사는 전치사에 붙는 것에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며 일정한 각도와 일정한 키[KET]로 우리에게 관여한다".(98) 5. 전치사는 어떤 것의 토대도 아니지만 모든 것이 그 전치사에 의존한다.(99) 6. 전치사가 달라지면 영역 혹은 범주가 달라진다는 뜻이다. 그렇게 달라진 영역 혹은 범주와 맞닿으려면(crosssing; 관통하려면) 그들 범주마다의 음조(tonality;뉴앙스의 뜻임)에 맞춰 조화되어야 한다. (#) 7. 연결망 양식과 같은 대부분의 일원론의 약점은 범주마다의 가치가 특화되지 못한다는 데 있는데, 이런 약점을 전치사 양식이 해결해 줄 수 있다.(105) ----------------------------- 화이트헤드의 상식 common sense ----------------------------- 1. 서로 다른 범주, 서로 다른 전치사에서 변환되는 수많은 다양한 해석의 키들을 조율하는 것은 결국 타자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며, 그런 관심이 바로 상식common sense이다(#) 2. 라투르는 상식common sense 과 양식good sense를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양식은 주어진 범주에서 주어진 음조양식에 맞춰진 범주 내부 해석키에 따른 이해방식이다. ---------------------------------------------- 연결망과 전치사의 합생, [NET · PRE]에서 교차와 대조 ---------------------------------------------- 1. 내가 어떤 연결망에 위치하는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그렇게 알게 됨으로써 서로 다른 영역 사이의 경계선에 억압되지 않는 자유로움을 얻기 때문이다. 2. 동일한 상황이라도 다른 [PRE]에서는 전혀 다르게 상황이 파악되기도 한다. 3. 모든 상황은 [NET]양식과 더불어 [PRE] 양식에서도 포괄적으로 다뤄져야 한다. 연결망 양식은 결합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전치사 양식은 다수 양식들의 차이를 파악하게 해준다.(104) 4. [NET · PRE] 양식의 교차 관계를 이해한다면 왜 종교를 법이나 과학으로 판단할 수 없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105) 5. 존재양식 사이를 연결하는 교차를 통해서 양쪽의 분지를 관찰하고 혹은 양쪽 사이에서 적정성 상태(앞의 해설을 참조)를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양쪽을 대조contrasts함으로써 교차를 가능하게 한다.(105) 6. 주석자의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동일한 "자연"이라는 용어가 서양철학의 범주와 동양철학의 범주에서 왜 그렇게 다른지를 알려면 동서양 철학에서 “자연”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맥락을 상호대조하면 쉽게 양쪽 사이의 대화와 교차가 가능해질 것이다. 7. 연결망 존재양식은 가시적이며 다른 범주 사이의 교차를 강조하고, 전치사 존재양식은 비가시적이고 다른 관점 사이의 차이를 강조한다. 적정성 상태는 연결망 양식이 아닌 전치사 양식의 관점에서만 비교되는 것이다.(106) ------------------------------------ 기존 행위자-연결망이론 ANT의 강점과 약점 ------------------------------------ 강점: 기존 제도 관념을 해체하면서 인간-비인간 연결을 보여주며, 사회 양식은 유기체, 물질적, 경제, 심리 등 다른 양식과 연결되고 확장되어 있음을 잘 보여주고 또한 설명가능하다. 약점: 해당 영역 내부 정보원(종사자 혹은 옹호자)들이 집착하는 그들만의 가치를 구별하기 어렵다. 연결망으로서 결합을 가능하게 했지만 결합된 요소(영역)들 사이에서 어느 것이 얼마만큼 결합에 기여했는지를 알기 어렵고 단지 성공한 요소들만의 통합으로 여겨질 위험이 있다.(106-7) (필자는 이런 라투르의 솔직함에 감탄했다) ----------------- 연결망 양식의 조건 ----------------- 1. 연결망 양식으로 연결망 자체를 묘사할 수 있다. 영역의 자기고유성만 강조하는 근대주의자는 연결된 관계를 인정하지 않으며 묘사하지도 못한다. 2. 연결망 양식은 그런 근대인과 대화하면서 그들이나 우리나 각기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확인할verify 수 있어야 한다. 3. 행위자의 설명과 연결망 개념의 묘사가 서로 차이나는 이유를 탐구할 수 있어야 한다. 4. 이론과 실천의 차이를 좁힘으로써 다른 양식, 다른 영역의 가치를 무시하지 않고 포용할 수 있는 연결의 재정식화가 제안될 수 있어야 한다. --------------------------------------- 연결망 양식의 향후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시험 --------------------------------------- 1. 경험적 사실에 기반해야 하며 현장에 충실해야 한다. 2. 연결망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제도권 안의 사람들과 조화롭게 마무리를 해야 한다.(각주자 입장에서 불확실함) 3. 다양한 가치들을 설명할 수 있는 연결망이어야 한다. 4. 연결망 이후의 거주민들로 하여금 이전 거주민들보다 편안하게 느끼도록 해야 한다.(108-9) 이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 이성, 대문자 이성의 역사 --------------------- 1. 근대의 편협한 이성에서 벗어나 오류에 안주하지 않고 사물의 이치를 따라 합리적 존재자로 되기를 희망한다는 점에서, 그렇게 희망하는 삶의 형식을 대문자 이성의 역사라고 볼 수 있다.(109) 즉 근대인의 이성의 폭에서 탈출하여 포괄적이고 연결망의근거로서 이성을 말한다. 2. 라투르가 말하는 대문자 이성은 연결망 이성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망 없는 이성은 케이블 없는 전선이고 가스관 없는 가스이며 통신연결장비 없는 전화통화이며, 걷지 않는 하이킹이며 법적 수단없는 법정 원고와 같다."(110) 3. 연결망 없는 합리성은 내용 없는 기호들의 수학식이다.(각주자) 4. 근대인이 뺏어간 이성은 기하학적 합리성RATIONAL일 뿐이다. 진짜 합리성(대문자 합리성)은 다양한 연결망들에서 다양한 전치사들의 맥락을 가닥별로 혹은 단계별로 끊이지 않고 추적하는 과정이다. ------------------------ 라투르는 실재를 수용하는가? ------------------------ 1. 실재는 다 만들어진 기성품처럼(베르그손이 말한 것) 발견되기를 기다리는 것과 다르다. 실재는 오히려 존재 자체가 사실을 확립하는 작업의 과정에 있다는 점이다. 즉 존재는 형성 중에 있으며 만들어지고 있다.in the making(109) 2. 라투르의 실재는 마누엘 데란다의 평평한 존재론flat ontology과 맥을 같이 한다. 인간과 비인간, 큰 것과 작은 것, 인공물과 유기물, 모든 것은 평등하게 존재한다.(마누엘 데란다 2009, 강도의과학과 잠재성의 철학: 잠재성에서 현실성으로.) --2장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