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투르, 근대인의 객체 박물관- 6장 해제 |
원저 : B. 라투르, 존재양식의 탐구-근대인의 인류학 |
실린 곳 : philonatu, philonatu |
(한글판) 브뤼노 라투르 2023, 『존재양식의 탐구, 근대인의 인류학』 (황장진 번역) 사월의책. 742pp (영어판) Bruno Latour 2013, An Inquiry into Modes of Existence: An Anthropology of the Moderns, Catherine Porter (tr.),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486pp (불어판) Bruno Latour 2012, Enquête sur les modes d'existence: Une anthropologie des Modernes. La Découverte 라투르의 존재양식 6장 근대인의 객체 박물관에 전시된 것들 - 해제와 해석 - 최종덕 (독립학자, philonatu.com) 이 원고는 오로지 이 책 『존재양식의 탐구』 한 권만을 위한 해제본임을 밝힙니다. 『존재양식의 탐구 : 해제와 해석』 읽는 지도 ① 라투르(Bruno Latour, 1947-2022)의 책, 프랑스 원판(2012)과 영어판(2013)이 출간되고 10년 만에 한글판(2023)이 나왔다. <해제와 해석> 작업이 원래 더 오래 걸릴 일이었는데, 2023년 12월 전문성이 돋보이는 한글 번역판 출간 덕분에 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었다. ② 『존재양식의 탐구』 은 전체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전체의 기초 개념들을 설명하고, 2-3부에서는 정치, 법, 경제 등 구체적인 준주체 존재양식을 다룬다. 1장에서 16장까지 각 장 별로 해제 원고를 차례로 실었다. ③ 챕터 별 서술이 적절한 지 문제를 따질 수 있는데, 이 원고는 이 책 『존재양식의 탐구』한 권만을 위한 <해제>라는 성격에 충실하고자 그렇게 했다. 각 장의 내용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 책의 특성 때문에 개별 장을 따로 읽기가 힘들 수 있다. 개념에 따라 문단을 나누었는데, 문단을 연결하는 비가시적 연결망의 노드들을 체현하려는 시도를 했다. ④ 이 책은 들뢰즈의 몇몇 개념과 라투르 자신의 책들(생태 저작물 이전 시대) 『근대인』,『실험실』,『동맹』,『판도라』 등에서 제안된 용어를 어느 정도 이어받고 있지만 단순 계승이 아니라 변신된 번역화의 작품이다. 그래서 책의 내용도 상당히 압축적이다. de Vries의 책(2016)과 관련 해설서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⑤ 인용 출처는 괄호 안 쪽수 (123)로만 표기했는데, 영어판 출처는 숫자 앞에 * 표시(*124)로, 프랑스 원본의 쪽수 표기는 (** 124) 로 표기했다. 6장 해제: 구성에서 창설로: 우상파괴의 합리성 칼을 쥔 근대인, 그 칼끝이 다시 근대인을 향하네 존재양식 6장 - 질문과 시도된 대답들 1. 객관적 설명인가 아니면 도구적 해석인가? 혹은 실재론자인가 아니면 상대주의자인가? 2. 구성은 무엇인가? 구성주의의 다양한 뉴앙스가 있어서 오해받기 쉽다. 일반적 비난의 하나로서 구성된 것은 가짜 관념일 수 있다는 비판이다. 3. 형식주의가 낳은 개념적 이론이 구체적 겸험계 실천을 지배해버린 근대성이 이제는 실천의 존재양식을 거꾸로 비합리적인 것으로 낙인찍고 있다. 이론과 실천을 갈라놓은 이분화의 근대성은 어떻게 [우상파괴]의 존재양식으로 진전했는가? “논쟁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라는 망령에서 벗어나 탈구축의 구성 1. 확실한 지식, 객관주의, 직설적 말하기straight talk, 이런 것들이 객관적 실재인가 아니면 도구의 해석 혹은 구성된 결과인가?(232)라는 질문에서 근대인은 객관적 실재라고 답하겠지만 실제로는 그들도 잘 모르는 구성된 결과라고 라투르는 답한다. 2. 라투르가 말하는 구성construction은 자연과 무관하게 사실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며 자연의 존재물을 독립적으로 인정하는 실재론도 아니다. 즉 구성이라고 해서 실재하는 세계와 무관하게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특히 과학에서 구성이란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산출하는 과정이다. 다시 말해서 관찰장비가 달라지면 구성결과물도 달라지거나 다른 해석이 나올 수 있다. 3. 구성 결과물은 유일하지 않으며 외부조건과 환경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라투르는 데리다의 탈구축de-construction 개념을 받아와서 구성은 항상 재구성 혹은 재구축이라고 말한다. 근대인이 자랑하는 비판 양식 - 구성construction과 비판critique 1. 라투르는 구성과 비판에 대하여 말하는데 구성 양식은 비판 양식과 다르다고 한다.(234) 비판 양식은 근대인이 만든 주요한 방법론적 도구이다. 비판을 이해해야 구성을 이해할 수 있다. 먼저 라투르가 말하는 비판의 의미를 검토한다. 2. 철학이나 정치 종교나 법 등의 존재양식에서 사용되는 제도화된 개념이나 장치들이 만들어지기까지 그 내부에 안고 있었던 의심스러운 조작, 진부한 은유, 결함 있는 번역, 잘못된 투사 등을 적나라하게 지적하여 그렇게 제도화되기까지 의미의 변형이 있었음을 지적하는 것이 비판이다. 3. 근대인 존재양식의 하나인 그러나 비판 양식은 나의 관점에서 본 행위이다. 나의 관점에서 이뤄진 비판은 상대의 변형과 공백 그리고 불연속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234) 즉 나의 비판양식에 의해 너의 불연속은 비난을 받거나 사라지게 된다. 결국 나의 진리관에 의해 다른 모든 진리관이 배제되는 진리의 획일성 위험이 비판 양식 안에 도사려 있다. 4. 라투르에서 비판은 주어진 특정 단일 영역 안의 개념을 해체하는 데 유효하지만 다른 양식, 다른 범주의 개념들에 적용되기 어렵다. 데리다에서 구성은 해체가 아니라 탈구축de-construction이기 때문에 구성을 위하여 비판 양식의 강도는 그렇게 세지 않다. 근본주의fundamentalism에게 들려주는 목소리 – 구성 행위를 알려주기 1. 근본주의란 다음처럼 정의된다. 외부의 해석이나 변형 혹은 번역 나아가 다양성을 허용하지 않으며, 근대인이 계몽했던 타자들을 분열된 타자로 간주하며 타자의 다양성을 관광상품으로 향유하면서도 타자의 존재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행동경향을 근본주의라고 한다.(236) 라투르는 이런 근본주의자들에게 “들려주는 목소리”를 낸다. 2. 그 목소리는 구성 행위에 대한 것이다. ① 첫째, 행위의 이중성doubled action이다. 행위를 하는 사람은 혼자서 행위한다고 생각할지 몰라도 실제로는 다른 사람의 행위를 동반한다는 뜻이 행위 이중성이다. 그래서 고립된 행위는 없다고 한다. ② 둘째, 행위 방향의 불확실성 uncertainty of the direction of the action이다. 무엇인가를 구성하는 행위는 구성하는 과정에서 그 방향이 고정적으로 설정된 것이 아니다.(어디로 튈지 모른다) ③ 셋째, 구성하면서 구성자는 가치판단을 하면서 구성의 품질을 고민한다.(237-9) 3. 외부세계를 객관적으로 묘사했다는 근대인의 실재론도 알고 보니 구성주의의 산물이었다. 외부세계로서 실재하는지 아니면 신의 도움을 받아 창조된 개인의 사적인 관념인지에 대한 질문 속에서 앞서 말한 구성 행위 3가지 문제는 사라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세계가 실재한다면 구성물 가설이 적용될 수 없을 것이고, 세계가 신의 창조물이라면 인간의 구성은 처음부터 언어도단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여전히 근대인도 구성주의에서 벗어날 없다는 사실을 6장에서 충분히 보여줄 것이다. 4. 근대인이 만든 인공물은 구성물이라는 점에서 기하학적 상상력의 작품인데 근대인 모두가 이를 찬양하느라 정신없었고, 이를 찬양하지 않는 부류에 대하여 비합리적이라고 낙인찍었다. 라투르 예술철학의 기초 개념 창설instauration에 대하여 1. 창설instauration에 대하여: 예술작품은 예술가의 창조품이 아니라 창설품이다. 2. 창설은 프랑스 예술철학자 수리오 Etienne Souriau(1892-1979)의 개념을 라투르가 차용한 것으로서, 창조와 다시 새로워지는 것을 구축하는 내재적 힘이라고 보았다. 특히 예술적 존재는 정형화된 것 아니라 존재와 예술가가 만나면서 변신가능한 존재로 된다. 그런 존재를 묘사하는 것이 예술이며 그런 점에서 예술 행위를 창조라는 말 대신에 창설이라고 했다. 쉽게 말해서 예술가가 (상상 혹은 현실의) 인물 (회화나 조각) 작품을 창작하면서 동시에 대상 인물도 그 예술가를 창조하는 양방향의 창조가 일어난다는 수리오 고유의 예술철학을 함의한다. 3. 번역자는 이를 창설로 번역했는데 영어의 instauration 번역 이상으로 아주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4. 예술가는 작품을 만들 때 단순 창조만의 작업이 아니라 존재와 대화하고 변형하는 창설에 몰입한다. 대화하고 변형하지만 실제로는 그 다음 과정을 예측할 수 없는 작업이다. 라투르는 이런 과정을 스핑크스의 수수께끼에 비교하면서, "알아맞혀라. 그렇지 않으면 잡아먹을 것이다" 로 표현했다.(242) 창조는 생존이며 (라투르 표현대로라면 "생존의 재생산이며") 그런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뜻이다. 5. 라투르는 수리오의 창설의 존재양식을 그대로 받아온다. 그래서 라투르의 구성은 없는 것에서 아무거나 만드는 관념행위가 아니라 이미 있는 것들, 이미 타자와의 관계흔적이 있는 것들 가운데 새로운 것을 찾아 구축하는 그 무엇이다. 라투르는 이 점을 크게 강조한다. 6. 예술작품의 사례를 다시 들어보자. 조소 예술품은 첫째, 대리석 돌덩이리가 좋다고 되는 것이 아니며, 둘째, 작가의 창의적 능력이 좋다고 되는 것도 아니며 셋째, 이런 정도 즉 첫째와 둘째의 존재양식으로는 기껏해야 정원용 소형 석고상을 만드는 것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는 사례는 창설의 이해에 도움이 크게 된다. 7. 불확실성, 불연속성, 존재고민의 댓가를 치루면서 공백의 고개를 넘어가는 과정, 즉 창설 과정을 통해서 진정한 작품이 탄생된다.(243) 존재로서의 존재에서 타자로서의 존재로 이행 1. 존재로서의 존재Being-As-Being는 자기 존재를 보증하는 실체에 기대며 초월의 관념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존재로서의 존재는 한 가지 존재 유형만 추론할 수 있다. 2. 한편 타자로서의 존재Being-As-Other는 창설을 요구하는 존재로서 불연속성의 댓가를 지불해야 한다. 타자로서의 존재는 실체 대신에 생존Subsistence에 의존한다. 관념적인 초월 내재성이 아니라 불연속과 공백을 통과하여 살아남는 그런 작은 초월의 내재성이다. 여기서 작은 초월이란 상황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상황 안으로 깊이 들어가는 통과의 과정이다. 이런 초월을 초월-하강trans-descendence이라고 한다.(245) 3. 이런 통과를 거치는 타자로서의 존재는 비로소 다른 유형의 타자 존재로 횡단할 수 있다. 우상파괴와 반물신숭배의 근대 지식 그리고 먼지구름 속에 사는 근대인 1. 지식이라는 종교religion of knowledge의 탄생은 근대인의 산물이다. 과학을 포함한 근대인의 지식은 우상숭배를 부정하는 우상파괴 그리고 물신숭배를 거부하는 반물신주의에서 출발한다고 말한다.(fetishism) 민족지학으로 본 근대인에 대한 정의는 우상충돌iconoclash 이라고 라투르는 자기가 만든 용어로 해명한다.(249) 2. 그러나 실제로 근대인은 기존의 숭배를 파괴하면서 또 다른 것을 숭배하게 된다고 라투르는 지적한다. (253) 이런 숭배의 악순환을 라투르는 “이미지 전쟁”이라고 표현한다. 이미지 전쟁은 모든 존재양식에서일어나고 있다고 말한다.(252) 이미지 전쟁의 하나인 우상파괴의 악순환은 결국 우상파괴의 원천을 상실한 데서 온 결과다. 3. 이런 근대인의 원천 혼동은 과학에서만이 아니라 종교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신의 형상을 만들지 않는다는 근대인의 단언은 불가피하고 필연적으로 우상 없는 또 하나의 다른 신을 창설하기 위한 매개로 연결된다.(251) 근대인도 역시 변이 없이 혹은 창설 없이 생존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4. 전투 용어fighting word로 바꿔진 "합리적"이라는 단어는 타자의 파괴를 일삼는 도구로 전락된다. 이교도들 넓게 말해서 타인, 타자 일반을 미몽에서 일깨워야 한다는 계몽주의 의무감을 근대인은 갖고 있다. 그런데 그런 의무감이 파괴적인 폐허를 가속화시켰다. 그 파괴의 현장에는 먼지구름만이 뭉개져 있다. 5. 그래서 근대인은 항상 먼지구름 속에 산다. 역사 내내 반복되어 온 근대인의 우상파괴의 망치질은 파괴를 가소한다. 그리고 파괴 이후에 새로운 이미지를 건설한다. 그런 이미지는 새로운 우상을 건설한다는 뜻이다. 물론 근대인은 이런 건설을 우상이라고 하지 않고 기하학적 이성의 승리탑이라고 우긴다고 라투르는 지적한다. 이미지들은 다시 파괴되고 또 새로운 이미지를 건설하고 파괴하는 파괴의 악순환에 빠지면서 남는 것 그리고 보이는 것은 결국 폐허의 먼지이다. 라투르가 말한 먼지구름은 그런 먼지들의 수사법이다. 근대인은 그런 먼지구름 속에 사는데 익숙해져야 한다고 라투르는 말한다.(253) 구성에서 창설로 1. 타인을 구별하는 쉽볼렛(이국인을 구별하기 위한 단어발음 테스트 기준)을 통해서 합리적 인간과 비합리적 인간을 나누는 것이 근대인의 모습이었는데 그런 근대인의 편향은 구성주의의 폐해이다. 남의 작은 티를 잘 보고 비난하면서도 자기의 큰 흠의 대들보를 못 보는 것이 구성주의의 문제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구성은 창설로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257) 2. 라투르는 보통 구성주의자로 알려져 있지만 섬세한 면에서 라투르 자신은 구성주의가 아니며 탈구축주의도 아니라 창설주의자라고 한다. 나는 이를 창설적 구성주의로 표현한다. 믿음에 대한 믿음belief in belief 1. "믿음들"의 반대는 진리이지만 "믿음"의 반대는 전치사들의 명시적 규정(the explicit determination of prepositions)이다.(*172) 여기서 단수의 믿음은 특정 믿음체계를 말하며 그런 특정 믿음체계는 절대주의를 지향하므로 타자의 존재를 허용하지 않는다. 반면 "명시적 전치사의 규정"은 방향이 붙은 사물(벡터)처럼 상대주의적 존재양식이므로, 단순 믿음은 전치사들의 명시적 규정과 반대가 된다. 근대인이 만든 객체 박물관이 있다면 그 안에 가득 채울 수 있는 것들 1. 자연주의와 합리주의 2. 이분화bifurcation 3. 발없는 악마 : 그들이(근대인이) 분개하며 "악마를 쫒아내는 것"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우리는 그들의 발을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When they speak indignantly about “chasing out the demons,” we would do well to look at their feet! 악마를 퇴치하는 근대인이 또 다른 악마인지를 확인하라는 뜻이다.(261) 중세 악마를 그린 삽화를 보면 악마는 대체로 발이 없거나 기형인 경우가 많다. 악마를 내쫒으려는 자들도 혹시 악마가 아닌지 잘 살피라는 간접 경고의 말이다. 물론 그 악마는 천재의 악마겠지만 말이다. 4. 폐허와 먼지구름, 정원에 있는 작은 조각소품들, 오캄 면도날에 베어버린 물질들이 근대인 박물관을 채우고 있을 것이다. 확실한 지식이 있다는 환상 1. 형식주의가 경험세계를 지배함으로써 지식의 확실성이 보장된다는 환상이다. 2. 상식의 자명성에 위배된다. 3. 지식의 확실성은 신으로부터 보증된다는 열정을 동반한다. 근대의 땅에서 다른 곳으로 이주하기 1. 근대인의 오만: 맹인(근대인)이 겁없이 큰 길로 뛰쳐나가는 것은 일종의 오만이다. 2. 포스트모더니즘: 나가지 않고 머물거나 뒤로 움칠거리기가 포스트모더니즘이지만, 결국 낙심에 빠지게 된다. 3. 이 두 가지 상반된 상항이 근대주의의 현실이다. 이런 근대주의를 끝내기 위해 우리는 근대인의 땅에서 가이아의 땅으로 거주지를 옮겨야 한다.(263) 거주지 이전을 위해 라투르가 제안하는 수단이 앞서 말한 창설적 구성주의다.(264) 4. 이 책에서 가이어 용어가 처음 나오는데, 이 책 발간 2012년 이후 가이어 논의는 생태정치와 관련하여 자주 언급된다. 근대인의 비판적 자비심이 만든 존재자들 1. 허구 존재자fictional beings, 신gods, 우상idols, 정념passions, 상상imagings들이 바로 근대인의 비판적 자비심(기독교 자비심 말고)이 만든 실재적인 것real things이어야 한다고 했다.(*176) 2. 어떤 것은 받아들여야 할 긍정적 신념convictions으로 표상되고, 또 어떤 것은 피해야 할 부정적 환상phantasms으로 표상되는 것의 차이일 뿐이며, 이런 존재양식들은 모두 신화적인 것과 비합리적인 것possible return of the irrational and of archaism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을 굳게 막아내려는 자기극복의 실재라고 근대인은 이해하고 있다.(*176) 3. (being / existence 번역: being은 존재 혹은 존재자로, existence는 존재양식으로 번역했는데.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4. 여기서 정념이란 데카르트의 정념을 겨냥한 용어로 추측된다. 데카르트의 정념은 타자에 의해 작동되면서도 자기 주체가 스스로 작동하는 것이라는 믿음의 하나이다. 데카르트는 이런 정념을 기계적으로 그리고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정념 발생의 원인을 인식할 수 있다고 보았다.(정념론 1649) 라투르는 정념이 객관적 분석의 대상으로 될 수 있다는 데카르트의 생각을 반대하는 것 같다. 근대인이 본 유물론, 물질, 그리고 그런 물질을 실재화하기 -양분 넣어주기" 1. 근대인은 물질에서 활력을 제거했다. 2. 지식의 양식과 재생산의 양식을 혼동하여 물질을 오해하고 있다고 라투르는 지적한다. 근대인의 선험적 오해는 재생산 양식을 지식의 양식으로 잘못 용융amalgam시킨 결과이다. 그런 잘못된 오해로 수용된 물질을 라투르는 "환상으로 표상된 것에 다시 환상이 덧대어 붙여진 것"이라고 했다. 유물론이 약간 모호하거나 거친 면이 있는 것subtle or crude은 거의 문제가 되질 못했다. 근대인이 말하는 유물론의 물질은 헐벗고 차가워서 존재론적 실재성이 미흡하다고 라투르는 확언한다. 진정한 유물론자가 되기 위하여 물질을 살찌우고 통통하게 해주는 존재론적 실재성의 양분을 물질에 넣어줘야 한다고 라투르는 강조한다.(*177) 3. 이렇게 물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유물론을 포기할 필요없다고 평가된다. 라투르는 6장 말미에서 이렇게 말한다. “유물론은 여전히 우리가 생각해 볼만한 미래다.”Materialism is still a thought of the future.(*177) 지시연쇄와 재생산 양식을 혼동하지 않기 1. 지식을 보장하기 위해 확립해야 하는 지시의 연쇄이다. 지시체는 독립적으로 생존할 수 없다. 지시체reference 사이의 연결이 더 중요하다. 지시체 연쇄는 지시체가 문맥 안에서 어떤 의미를 부여받느냐 하는 관계부여성을 말한다. 관계는 지시체 사이의 사슬로 비로소 탄생된다. 2. 한편 사물들이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도약의 재생산 양식이다. 3. 이론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지시의 연쇄 존재양식과 사물(세계)의 생존에 필요한 도약의 재생산 존재양식, 둘을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265) 두 가지 경험을 되찾아오기 - 근대인의 위기로부터 탈출하기 1. 경험론(경험주의) 철학에서 일차성질(계량화 성질)과 이차성질(계량불가한 감각적 성질)을 이분법으로 구획한 후 이차성질을 배제함으로써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을 다 놓치고 마는 생존 위기에서 탈피해야 한다. 2. 존재의 전치사 양식이 세계 내부에 있음을 파악한 후, 존재자로서의 존재에서 타자로서의 존재로 전환함으로써 경험의 내재성을 되찾아오는 일이 중요하다.(267-8) 6장 해제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