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인의 노자 읽기”에 대한 논평 |
원저 : , |
실린 곳 : , |
2001 논평 : 김시천 “서구인의 노자 읽기”에 대한 논평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회 학술대회 <우리 시대의 고전 읽기> 2001년 12월 1일 노자 읽기 - 읽는 행위는 창조 행위이다.타자와 만나는 방식은 보기와 듣기 그리고 읽기가 있으며, 좀 다른 방식이기는 하지만 (한번에) 트기와 말하기가 있다. 한편 요즘은 컴퓨터와 통신의 발달로 해서 보기, 듣기, 읽기, 말하기를 동시에 하는 다매체의 만남이 유행이기도 하다. 트기, 보기, 듣기, 말하기는 감각에 의존하지만, 읽기는 상대적으로 사유를 더 많이 요구한다. 물론 읽기는 먼저 정보를 담고 있는 기호의 존재를 전제한다. 기호를 읽는다는 것은 기호에 기의를 부여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래서 읽는 행위 속에서 기의는 기호 제작자만의 것이 아니라 읽는 이의 창조적 생산물이 되기도 한다. 한철연 연구실을 날마다 올내리락 하는 사람도 이 건물 한 층의 계단 수가 몇 개인지는 잘 모른다. 그 이유는 밟는 이가 기호에 기의를 붙일 만한 필요성이나 실용성을 별로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거꾸로 생각해 볼 때 노자를 읽는 18세기 서양사람들이 자기네 읽을 거리도 아닌데 생소한 남의 읽을거리를 열심히 읽는 데에는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고 보여진다. 다시 말해서 그네들이 노자를 읽는 데에는 그 필요성과 실용성이 있다는 말이다. 근대 서양에서 시작한 제3 세계 지리학이나 인류학 그리고 고고학 등이 필요성과 실용성에 의한 제국주의 산물이라는 점에 이제는 별로 이의를 다는 사람이 없다. 그렇다고 해서 이 논문에서 다룬 서양인의 노자 연구가 반드시 제국주의 산물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들의 문제해결을 위해 노자를 연구하고 그에 따른 읽기의 창조를 일구어 낸 것이지, 극동의 땅 저 너머 멀리 있는 동양인의 문제해결을 위해 노자 연구를 한 것은 아니었다. 이 점은 논평자가 확신한다. 그러자니 필자가 쓴 내용과 같이 서구에서는 노자 번역을 거울로 비추니 기독교 신의 영광이 보이게 될 수밖에 없었다. 백설공주를 음해 하는 나쁜 왕비의 거울인 셈이다. 프리즘은 곡해와 왜곡까지 포함된 의미를 갖고 있지만, 사실 따지고 보면 그들 사유의 지평선의 한계이지, 서양인이 일부러 그렇게 왜곡을 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이점에서 필자의 논의는 서양인이 일부러 왜곡까지를 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불러일으키는데, 나는 그렇게 까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 점에 대해 필자에게 이야기를 더 듣고 싶다. 어쨌든 이런 프리즘의 이해를 떨쳐 버리는 중요한 연구자가 나오는데 그렇게 유명한 레그이다. 19세기 레그의 번역은 그의 탁월한 중국어 실력과 철저한 중국문화 이해에 바탕을 두었다. 레그는 기존의 성경에 비춰진 거울 번역과 당시 상당한 영향력을 지녔던 소설가 쥴리앙 류의 왜곡된 프리즘 번역을 과감히 비판하면서 철저한 고증과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한 제대로 된 번역을 내놓았다. 영어권의 번역은 그 이후 많이 나왔지만 60년대까지 레그의 것이 기초가 되었을 정도로 영향력이 있었다. 필자가 쓰지는 않았지만 50년대 보데 교수 보데의 대표적 자료들 (1) Bodde, D. Chinese "laws of nature": a reconsideration.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39 (1979), pp. 139-55. (2) Bodde, Derk, Further remarks on the identification of Lao Tzu: a last reply to Professor Dub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64 (1944), pp. 24-7. (3) Bodde, D. Myths of ancient China. In S. N. Kramer (ed.), Mythologies of the Ancient World, Doubleday & Co. Anchor Books, Garden City, N. Y. 1961, pp. 389-94 (4) Bodde, Derk, The new identification of Lao Tzu proposed by Professor Dub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62 (March 1942), pp. 8-13. (5) Bodde, Derk. Evidence for "laws of nature" in Chinese thought.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20 (1957), pp. 709-27. 에 의해 객관적이고 학문적으로 연구되던 풍토는 하버드 대학 아시아 연구소의 위상을 한층 올려놓았고 이때부터 도라는 길이 인간이 가야 될 길이면서 동시에 자연 원래의 길임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엄밀한 연구성과 위에서 동양적 자연주의는 서양의 물질적 자연주의와 다른 길임을 알게 되었고, 이로부터 물질 위에 정초된 서구의 기계문명이 보여준 부작용의 치료제로서 노자를 포함한 도교 수용이 학문 외적으로도 넓어지게 되었다. 60년대는 반문명, 반전, 평화, 여성, 생태 운동이 시작되는 시기였다. 이성비판, 포스트모더니티의 경향이 시작되기도 했다. 이때부터 서양은 동양의 불교와 도교를 다른 관점에서 보기 시작했다. 그 전까지는 선교와 식민화의 한 흐름으로 다룬 연구경향이었으나 이차대전 이후에는 산업화의 장막에 가리워진 소외된 인간을 되찾기 위한 정신적 도구로서 불교와 도교를 찾는 경향이 뚜렷해 졌다. 이때부터 노자 읽기는 기독교로서 읽기보다는 신비주의로서 읽기가 부쩍 늘어났다. 그래서 Logos, Virtue, Order 라는 성서 수준의 개념보다는 wisdom, sympathy, nothtingness 등의 서정적 혹은 수동적 개념이 많이 들어왔다. 필자가 지적한 웰치나 카프라의 노자 읽기는 분명히 문명적 읽기에 해당한다. 문명적 읽기는 일종의 정신적 치유제의 기능을 속에 숨기고 있다. 그러다 보니 아무래도 교조적인 냄새가 배어들게 되어 있다. 노자의 글은 교조적인 것을 거부하는 것이지만 반교조적인 것이 다시 교조적인 것으로 되는 아이러니가 생겼다. 그 대표적인 현상이 바로 신과학운동이다. 신과학운동에서 노자의 도덕경은 일종의 반언어적, 반문명적, 반이성적인 읽기의 대상이 되고 있다. 웰치나 카프라의 원래 의도와 달리 이런 읽기는 신과학운동이라는 대중적 확산에 힘입어 혹세무민의 유혹이 된 것이 사실이다. 이런 읽기는 서양은 과학, 동양은 신비라는 이분법적 체계를 형성해야만 설득력이 강해진다는 점이다. 문제는 이런 서구식의 읽기가 한국에 들어오면서 서양은 기계적, 동양은 인간적이라는 잘못된 이분법으로 은근슬쩍 변모하여 동양학의 열기로 이어지게 되었다. 동양의 열기는 구체적으로 한의학, 김용옥, 기공 등의 키워드로 대중과 상아탑에 번졌다. 나쁜 현상은 아니지만 서양은 기계, 이성, 과학, 합리, 동양은 인간, 신비, 생태, 직관으로 이분화 되는 웃지 못할 현상으로 이어지는 것이 문제였다. 우리 풍토에서 이런 읽기의 현상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필자는 좀더 지면을 할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아주 중요한 읽기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한국상황에서는 어떻게 해야하는 건지 토론할 때라도 필자의 생각을 듣고 싶다. 얼마 전에(8월) 동양의 열기에 대한 불만을 강하게 토해낸 김진석 교수의 “동양담론의 공허함”이라는 원고는 많은 부분 지나간 과거 속에서 우리 것 읽기에 대한 맹목적인 흐름을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는 내용으로 일관되었다. 그의 주장을 줄이면 다음과 같다. (1) 서양학에 대한 반기로서 인문학적 동양학을 반성 없이 수용하는 것은 결코 대안이 될 수 없다. (2) 전통 서양학의 병리적 문제들과 맞부딪친 해체론과 같은 서양학문 일단의 흐름들을 텍스트읽기의 꼼꼼한 분석 없이 너무 쉽게 동양의 노자 사유와 연계시키는 것은 전적으로 오류이다. 노자 철학 역시 단순한 수양론의 범주가 아니라, 그 안에 장기적인 지배 이데올로기의 논리가 숨겨져 있다. (3) 오늘날 문명위기에 대한 책임을 전적으로 서구에 뿌리를 둔 과잉된 기술(technology)에만 돌릴 수 없다. (4) 지나간 동양학 해석에 빠진 최근 대중 인문학의 흐름들은 일종의 문화 패권주의이다. (5) 이 점을 망각할 때 최근에 열기를 뿜어대는 동양 담론은 공허할 뿐이다. 사실 이런 주장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할 것이 없다. 왜냐하면 옳은 말이 많기 때문이다. 작금의 현실을 보면 동양철학 간판을 걸고 약 장사, 인생상담 장사, 기공체조 장사와 종교의 양상을 띈 제사상 장사에서부터 전통 생태주의를 빙자하여 개인의 보신주의에 빠진 사람들이나 그에 대한 지적 대안들이라는 내놓는 학자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김진석이나 이진우 같이 동아시아의 정체성과 동양철학의 실체를 비판하고 부정하는 논제들은 서양문명이 초래한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동양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강한 주장으로 이어진다. 오늘날 우리들에게 남아 있는 동양의 전통은 동양의 잔존일 뿐이지 결코 서구문명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식의 주장은 매우 날카로워 보이기는 하지만, 꼭 맞는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 노자 읽기에는 분명 다른 방식의 읽기도 존재한다. 이는 필자가 지난 월례발표회 때 선명하게 주장한 적이 있었다. 사실 오늘 필자는 그런 주장을 다시 해야한다고 본다. 군주다움, 신하다움, 아비다움, 자식다움의 신분적 정체성을 지배권력의 유지를 위한 봉건적 정명론으로 간주하는 읽기, 나아가 노자 사상 역시 은폐된(장기적인) 처세술의 범주로 보는 읽기, 그래서 노자의 탈정치적인 은둔의 철학은 실상 당장 드러난 것은 아닐지라도 장기적으로 볼 때 정치적 욕망의 또 다른 표현 방식에 지나지 않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그런 읽기 등을 이제는 까놓고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이와 관련하여 수양이나 무위에 대한 필자의 읽기 방식이 무엇인지를 설명해준다면 오늘 토론이 더 진지해 질 것 같다. <끝> ** 노자에 대해 서구인이 쓴 논문, 해석서 및 번역서 목록이 있으니 필요하신 분이 있으면 연락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