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이냐 공생이냐


겨우살이는 나무가지에 덩굴로 타고 올라 기생하는 식물인데, 딱다구리 외 다양한 새들이 겨우살이 열매 씨를 먹고 겨우살이를 퍼트린다.
전세계에 퍼져있으며 온갖 나무에 다 덩굴로 올라가 살아간다.

한국에는 주로 참나무에 걸쳐있다.
겨우살이가 오동나무에 기생할 경우, 오동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주지만 그 외에 나무에는 별 다른 피해를 주지 않고 공존한다.
mistletoe image

공생symbiosis은 1920년대 Ivan Wallin에 의해 조각된 개념이다.

"공생은 자연선택의 소산물"이라는 생태학자 Peacock (,Kent A)의 논증에 따르면 진화론 대부분은 형질 소멸(선택되지 못한 형질의 소멸)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지만 공생은 생성형질을 설명할 수 있다.

공생의 상호의존적 행동성향이 진화의 자연선택 요인이 되기 때문에 그런 생성형질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Peacock 2011, 219)

Peacock, Kent A., 2011, “Symbiosis in Ecology and Evolution”, DeLaplante, Brown, and Peacock(eds), Philosophy of Ecology, pp.219-250 In Gabbay, Thagerd, and woods(eds.) Handbook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Volume11, Elsevier.

symbiosis image

나아가 공생관계를 기생관계로 보느냐 혹은 상호관계로 보느냐라는 관점 차이에 따라 자연을 이해하고 응대하는 태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중요하게 강조한다.


블로그 목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