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투르 존재자의 뉴앙스 -존재양식 5장
(한글판) 브뤼노 라투르 2023, 『존재양식의 탐구, 근대인의 인류학』 (황장진 번역) 사월의책. 742pp

(영어판) Bruno Latour 2013, An Inquiry into Modes of Existence: An Anthropology of the Moderns, Catherine Porter (tr.),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486pp

(불어판) Bruno Latour 2012, Enquête sur les modes d'existence: Une anthropologie des Modernes. La Découverte


라투르의 존재양식 1부 5장
존재자의 음조(뉴앙스)
- 해제와 주석 -

최종덕 (독립학자, philonatu.com)





① 라투르(Bruno Latour, 1947-2022)의 책, 『존재양식의 탐구』 영어판이 출간되고 10년 만에 한글판(2023)이 나왔다. 영어판을 힘들게 읽다가 한글판이 나오니 독서가 아주 수월해졌다. 어려운 라투르 독서를 위해 출간된 해설서가 다수 있을 정도다.(Gerard de Vries, Bruno Latour. polity 2016) 각종 해설서의 도움을 받아 나도 비슷한 해설과 주석을 달아보려고 시도했다.

② 『존재양식의 탐구』 은 전체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서론에서 6장까지) 원고를 나의 홈페이지 <필로나투>philonatu.com에 먼저 싣고 나머지 2부와 3부는 원고가 다듬어지는 대로 추후에 올릴 예정이다. <해설과 주석> 작업이 원래 더 오래 걸릴 일이었는데, 한글판 출간 덕분에 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었다. 나의 <해설과 주석>은 전적으로 한 권의 책, 『존재양식의 탐구』 만을 위한 것이다.

③ 이 책 1장에서 16장까지 각 장 별로 해제 원고를 차례로 올리기는 하지만, 각 장의 내용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 책의 특성 때문에 개별 장을 따로 읽기가 힘들 수 있다.

④ 한글판 번역자에게 감사드린다. 전체적으로 훌륭한 번역이지만, 몇몇 용어 번역에 코멘트를 달거나 영어판 쪽수를 그대로 따른 것도 많다.

⑤ 인용 출처는 괄호 안 쪽수 (123)로만 표기했는데 영어판 출처는 숫자 앞에 * 표시(*124)를 했다.



5장 자기만의 진리기준을 고집하는 원circle의 악순환을 끊기: 형식화된 합리성의 물질언어 간파



-----------------------------
재생산 양식과 지시 양식의 혼동
-----------------------------
1. 물질의 상징과 실체를 혼동하면 안 된다.(189)

2. 재생산양식[REP]과 지시체 양식[REF]의 융합은 결국 물질을 오해하게 된다. 즉 근대인의 몸은 이분화된 세계에서 살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신은 그런 이분화 속에 살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는 중이다.(190) -자연의 이분화와 정신/신체의 이분화, 양쪽의 이분화를 혼동하고 있다.

---------------
번역과 전송
---------------
1. 번역translation/traduction: 공백의 은유와 비유, 어구 전환, 완곡 표현, 수사적 장식 등의 불연속적 전환(191)을 소화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재생산 존재양식이 창조적으로 생성된다. 재생산 양식은 라투르가 비유한 “변형의 폭포”를 허용하는 번역을 통과해야 한다.(193).

2. 단순전송displacement/translation : 반면에 더블클릭[DC]을 통해 필연성에서 필연성으로 전이할 수 있다는 헛된 믿음으로는 재생산 양식에 접근할 수 없다.

3. 단순전송을 직설적 말하기straight talk (직설의 언어)를 통한 이동이라고 라투르는 표현하는데, 이는 스피노자가 거부한 기하학적 방식more geometrico(라틴어 in a geometric manner/style; 스피노자 윤리학에서 처음 제시됨) 의 글쓰기로 제한된다.(193) 다시 말해서 기하학적 방식을 채택한 근대인은 모든 존재양식의 품질을 다 놓치고 만다(disqualification).(194) 근대인은 직설적 말하기의 옹호자이다."
---------------------------------------------
직설언어 옹호자와 굴곡언어 사용자들
straight talk와 crooked talk 사이의 갈등
---------------------------------------------
1. 더블클릭 [DC] 정보와 직설적 말하기의 옹호자들은 거꾸로 이동, 작동, 불연속성, 공백 등의 존재양식을 거꾸로 비난하고, 거기에 "불완전" 혹은 "평범함"이라는 라벨을 붙인다. 그래서 결국 시인이나 상인 사제나 현자들은 불완전한 존재자로 낙인찍힌다. 그들은 심지어 과학자들까지 비난한다. 스스로를 합리주의자로 자평하는 직설언어 옹호자들은 그렇게 불완전하다고 낙인찍는 상대방을 "굴곡의 언어"crooked talk를 사용하여 사람들을 속이고 다닌다고 비난한다.(195)

2. 물론 진짜 굴곡되고 비뚫어진 사람들은 근대인이지만 말이다.(198)

3. 이런 상황에서 경험 자체가 제대로 표현되지 못한다. 더블클릭은 형식화되지 않는 경험을 부정하기 때문에 진정한 경험을 보지도 못하고 표현도 못하게 된다.(195)


----------------------------------------------------
직설언어와 굴곡언어 사이의 교차, 혼동하지 말아야 할 것들
----------------------------------------------------
(근대인 주장1) 실재의 객체를 기하학적으로 그대로 묘사할 수 있으며 그런 언어화법을 형식화한 것이 근대의 최고 성취한 것이 바로 근대인이 옹호하는 직설언어라고 주장한다. 더우기 자신들의 직설 언어 사용을 존재론과 인식론을 혼동하지 않기 위한 통로로서, 그들은 자신의 직설어법을 "논쟁의 여지가 없는 사실"로 포장하고 합리화시키는 데, 이것이 더 큰 문제다.(209)

(근대인 주장2) 근대인이 비근대인을 비난하기 위해 그들은 비근대인에게 굴곡언어라는 라벨을 붙어 부정적으로 간주한다. 비근대인이 활용하는 시, 상징, 수사법, 의미번역들, 모두 굴곡된 언어라고 단정지으면서 근대인은 비근대인을 업신여기거나 비난한다.

(비근대인이 본 근대인; 라투르 입장1): 근대인은 객체 묘사에 필수적인 직설언어의 성취를 자랑하지만, 실제로는 그들의 언어 특히 정치양식의 언어는 직설언어를 빙자한 최고의 허위와 거짓의 양식을 가공하고 있다.

(라투르 입장2): 앞의 (근대인 주장2)처럼 근대인이 비근대를 비난하기 위해 활용하는 굴절언어가 실제로는 근대인의 허구를 깨닫게 하기 위해 연습되어야 할 진정한 존재양식이다. 그래서 [더블클릭]의 유혹을 완전히 거부하기 위해 직설적 말하기라는 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206) 직설적 말하기를 해야 한다는 보이지 않는 억압과 근대인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도 괜찮다.

-------------------------------------
‘융합’amalgam이라는 단어 번역의 문제
-------------------------------------
1. ‘amalgam’을 융합이라고 번역을 해서 독자들이 혼돈을 일으킬 수 있다. 여기서 아말감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한 것인데 융합이라고 번역하면 마치 긍정적 연결로 오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말감은 하나가 강제적으로 혹은 권력에 의해 다른 것을 포획해버리는 그런 비난 투의 의미를 포함한다.

2. 예를 들어 정치[POL]는 지식의 연결망(재생산 양식 [REF] 혹은[KNOWLEDGE])을 녹여버려서 무시한다는 뜻이 아말감 용어의 속뜻이다. 그래서 "융합"보다는 "용융"으로 번역하는 좋다.

3. 또 다른 예를 들어 과학지식이 정치권력에 휘둘리는 근대의 모습을 라투르는 경고한다.(196) - "근대인은 공적 논쟁을 종결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을 납치한 사람들이다"라고 라투르는 말한다.(196) 과학이 정치에 아말감 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한 것이다.

----------------------------------
합리적 실체RES RATIOCINANS
----------------------------------
1. 근대인이 만들어 놓은 관념화된 물질에서 촉발된 실체로서 데카르트 실체 이상으로 확장된 합리적 실체이다. 극단적으로 말해서 이런 합리적 실체라는 명분을 앞세워서 군중을 흥분시키고 마녀의 가마솥을 끊임없이 휘젓고 있다고 라투르는 말한다.(198)

------------------------------------------------
굴곡, 구부러진 언어의 근대인에서 탈출하는 방법 3가지
------------------------------------------------
1. (혹시, 혹시) 자신이 취하는 존재양식이 범주오류인지를 관찰하고 확인하면서 존재자의 음조(뉴앙스)를 무시하지 않고 전치사 양식이 제대로 맞는지를 재검토한다.

2. (혹시, 혹시) 자신의 존재가 연속성이라고 주장하면서 비연속성과 공백과 고유궤적을 다 놓치고 있는 것인지는 아닌지 다시 조사해본다.

3. (혹시, 혹시) 자신의 존재가 참과 거짓이라는 기준이 획일적인 근대인의 기준이 아니지를 되물어보는 적정성/비적정성felicity/infelicity conditions 상태에 맞는지의 여부를 파악한다.(200)

---------------------------------------
정치 양식에서 원circle이란, 정치적 말하기
---------------------------------------
1. 직설적 말하기처럼 보이려고 하지만 실제로는 가장 구부러진 말하기가 원이다.
2. 구부러진crooked 말하기가 내부적으로 반복되는 성질인데, 라투르는 이런 성질을 자기순환성autonomy이라고 이름붙였다. (번역서에는 "자율성"이라고 했는데 그 어조에서 긍정 의미를 보이는 자율성 대신에 부정 의미를 담은 자기순환성이라고 하는 것이 좋다.)
3. 자기순환성이라는 점에서 정치양식을 "원"circle이라고 라투르는 표현했다.(203)
4. 정치 양식은 항상 자신의 언어로 상대에 대하여 참과 거짓을 판정해버린다는 점에서 자기 회귀적인 원의 양식이다.(204)
5. 물론 정치적 말하기가 없으면 집단도 없다. 정치는 집단을 통해서 구현된다.(204) 정치적 말하기가 위선의 집단이라는 사실을 폭로하는 것 자체를 근대인은 원하지 않는다.(205) 이점은 라투르 정치철학에서 아주 중요하다.
6. [정치적 말하기]와 [더블클릭]이 만나면 더 나쁜 괴물이 만들어진다.(205) 더더욱 정치양식 자신의 원 안에서 투명성과 진실을 추구한다는 위선된 명분을 겉으로 내세우지만(205) 실제로는 정치현장의 고함과 조롱, 모략과 아부, 배신과 이탈, 허세와 조작, 거짓과 위선들을 더 키운다는 뜻이다.(204)
7. 정치적 말하기는 “스스로를 대변하는 사실”facts that speak for themselves로 표현되기 때문에 말 그대로 원의 존재양식이다.(*144)
8. 정치 양식의 ‘원’(그들만의 권력 서클)에 대하여 12장 해제에서 구체적이고 노골적으로 설명된다.

----------------------
분석과 “잘 말하기”
----------------------
1. 분석철학의 "분석"은 방법론적으로 옳았다. 그러나 계몽이라는 간판을 달고 "분석"이 존재를 지배해버린 더블클릭의 믿음으로 실제의 존재양식은 사라졌다.(207) 더블클릭은 정보가 공백이나 불연속성, 번역을 통과해야 한다는 것을 완전히 부정하기 때문이다.(208)

2. 분석언어로는 "잘 말하기" speak well를 할 수 없다.

3. 근대인은 분석언어를 통하여 번역과 맥락에서 독립적으로 참이 되는 언어를 기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언어의 엄격성with rigor 을 추구함으로써 필연성에서 필연성으로 진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런 진전을 하지 못하는 자연어는 적합하지 않은 비합리성의 존재라고 그들은 주장한다.(*139)

4. 실제로는 그런 엄격성이 오히려 타당하지 못하다는 것이 라투르의 역공격이다. 분석언어가 아니라 적절한 음조(tonality; 뉴앙스)를 가지고 상대에게 관심을 갖는 것이 진짜 엄격성이고 그런 말하기가 진짜 "잘 말하기"라고 라투르는 강조한다.(*139)

5. 변형과 이동, 은유와 변신이 가득한 자연어를 무시함으로써 필연성을 필연성으로 바꿀 수 있다는 합리주의에 빠지고 있다.

----------------------------------
존재론적 다원주의 그리고 존재양식들
----------------------------------
1, 기존 근대인은 사물을 합리적 실체에 기반한 외부세계로 정의했다.

2. 근대인은 물질이라는 관념을 "논쟁의 여지없는" 필연성을 찾아가는 실체로 잘못 생각했다.

3. 진위 여부를 더블클릭이라는 직설언어로 표현하는 존재의 획일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 존재양식은 다양하다.

4. 다양한 음조를 통해서 다양한 존재양식은 그 각각 고유한 진리판단의 원리(principle of veridiction)를 가지고 있다.(*143)

5. 존재양식의 특징으로서 (1) 비분절의 세계와 분절의 언어가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으며, (2) 기호와 사물 사이의 구별이 없으며, (3) 관계의 끈이 가까우면 마치 실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4) 반대로 그 관계가 너무 멀면 비실재로 여겨진다.too remote it is not the real thing. (*145)는 점이 있다.

--------------------------------------------
근대인의 환상에서 벗어나 ‘잘 말하기’ 연습하기
--------------------------------------------
1. 오캄의 면도날은 하나가 아니라 다원적 세계의 존재를 인정해야 한다.

2. 직설적 말하기 그리고 원의 존재양식에 저항해야 한다.

3. 진리판단은 유일하지 않고 단일하지도 않음을 깨닫는다.

4. 말과 세계, 지식과 세계, 인식대상과 인식주체를 더 이상 구별하지 않는다.

5. 물질의 단일실체론에서 벗어나고 분절된 언어에서 벗어난다.(*149)"

5장 해제 끝

philonatu

되돌아가기

전체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