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투르, 주객 이분화에서 탈출하기 - 존재양식 3장
(한글판) 브뤼노 라투르 2023, 『존재양식의 탐구, 근대인의 인류학』 (황장진 번역) 사월의책. 742pp

(영어판) Bruno Latour 2013, An Inquiry into Modes of Existence: An Anthropology of the Moderns, Catherine Porter (tr.),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486pp

(불어판) Bruno Latour 2012, Enquête sur les modes d'existence: Une anthropologie des Modernes. La Découverte


라투르의 존재양식 1부 3장
주객 이분화의 근대,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 해제와 해석 -

최종덕 (독립학자, philonatu.com)



이 원고는 오로지 이 책 『존재양식의 탐구』 한 권만을 위한 해제본임을 밝힙니다.



『존재양식의 탐구 : 해제와 해석』 읽는 지도

① 라투르(Bruno Latour, 1947-2022)의 책, 프랑스 원판(2012)과 영어판(2013)이 출간되고 10년 만에 한글판(2023)이 나왔다. <해제와 해석> 작업이 원래 더 오래 걸릴 일이었는데, 2023년 12월 전문성이 돋보이는 한글 번역판 출간 덕분에 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었다.

② 『존재양식의 탐구』 은 전체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전체의 기초 개념들을 설명하고, 2-3부에서는 정치, 법, 경제 등 구체적인 준주체 존재양식을 다룬다. 1장에서 16장까지 각 장 별로 해제 원고를 차례로 실었다.

③ 챕터 별 서술이 적절한 지 문제를 따질 수 있는데, 이 원고는 이 책 『존재양식의 탐구』한 권만을 위한 <해제>라는 성격에 충실하고자 그렇게 했다.

각 장의 내용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 책의 특성 때문에 개별 장을 따로 읽기가 힘들 수 있다. 개념에 따라 문단을 나누었는데, 문단을 연결하는 비가시적 연결망의 노드들을 체현하려는 시도를 했다.

④ 이 책은 들뢰즈의 몇몇 개념과 라투르 자신의 책들(생태 저작물 이전 시대) 『근대인』,『실험실』,『동맹』,『판도라』 등에서 제안된 용어를 어느 정도 이어받고 있지만 단순 계승이 아니라 변신된 번역화의 작품이다. 그래서 책의 내용도 상당히 압축적이다. de Vries의 책(2016)과 관련 해설서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⑤ 인용 출처는 괄호 안 쪽수 (123)로만 표기했는데, 영어판 출처는 숫자 앞에 * 표시(*124)로, 프랑스 원본의 쪽수 표기는 (** 124) 로 표기했다.




3장 진리대응론의 허구: 근대의 자랑거리인 주객체의 이분화로부터 탈출하기, 재생산 양식에 주목


-------------------------------------------------------------
통과passage - 양식(영역;범주) 외적 불연속을 뛰어넘어야 하는 통과과정
-------------------------------------------------------------
1. 법적수단으로서 통과, 과학적 증거로서 통과, 종교적 설교로서 통과, 전천후all-terrain양식인 결합의 연결망으로서 통과, 이런 통과를 위해 필요한 것은 첫째 교차하려는 능동적 행동이며 둘째 범주 사이 적정성 상태를 용기있게 질문하고 답하려는 행동이다.(119)

2. 단일 존재양식의 범주 실례로서 법의 존재양식을 볼 때 법원의 판결은 법적 존재양식의 원론인 법의 텍스트만이 아니라 다른 존재양식에 영향을 받는다. 텍스트 외적인 권력구조나 관성화된 법조인 사이의 내부조직력 혹은 자본과의 연결 등의 법 외적 불연속성에 기대어 있다. 그것의 적정성 여부와 무관하게 그런 공백과 불연속성을 도약하는 통과과정이 법원의 현실을 메꾸어준다.(논란가능)

2. 범주 내부 정보원들은 교차가 아니라 내부 이론 자체의 세계 대응능력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런 주장을 곧이곧대로 들으면 안 된다.(120)

---------------------------------
대응의 실체- 무엇이 대응된다는 말인가
---------------------------------
1. 실증주의 혹은 기존 진리대응설에 말하는 대응의 권력에 머뭇거릴 필요가 없다.

2. 대응은 실제로 세계와 명제와의 대응관계가 아니라 세계를 묘사한 진리진술 양식과 범주 내부의 진리진술 양식 사이의 관계일 뿐이다. 근대인은 전혀 별개인 두 가지 진리진술 양식 사이의 관계를 마치 진술과 세계 사이의 1:1 대응처럼 오해하고 있다고 라투르는 강하게 비판한다.(121)

----------------------------------------------------------------
immutable mobiles 불변의 가동물 - 모바일 수행은 영역을 뛰어넘을 수 있다
----------------------------------------------------------------
1. '이동할 수 있지만 불변하고, 표시 가능하고, 판독 가능하고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속성을 갖는 객체'가 불변의 가동물이다. 라투르 1986년 문헌에서 처음 표현되었다. (Latour B. 1986, “Visualization and cognition: Thinking with eyes and hands.” Knowledge and Society 6(1): 1–40.)

2. 일회성(‘일시적’으로 번역되었는데, 이 뜻은 ‘한 번 생성되면 그 후로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사건 혹은 그 흔적을 여러 장소와 다양한 시간에 지속적이고 이용 가능하게 만들어주며, 그렇게 함으로써 '다른 문자적 표현에 대해 소급 적용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그것이 발생한 후에도’ 여러 방식으로 타자에 의해 적용된다는 점이다.( Rheinberger 1997, 106).

3. 라투르가 처음 ‘불변의 가동성’ 개념을 생각했을 때 인쇄술의 발명이라는 기술적 전환을 염두에 두었다.인쇄술 개발로 인해 한번 만들어진 문서나 그림이 손상 없이 다른 지역 다른 시간에도 원본과 똑같이 재현된다는 데 착안하여 현대과학기술도 불변의 가동성이라고 포괄적으로 확장시켜 보았다. 손으로 그린 지도나 비문 도표나 글쓰기 모두 불변의 가동물의 사례이다.

4. 불변의 가동성으로서 데이터는 이동가능하지만 원본이 유지된다. 예를 들어 책은 불변의 가동물로서 대표적인 사례인데, 존재론적은 아니지만 현상적으로 동일성을 유지한 채 무수한 반복으로 복제되어 퍼지는데 그냥 단순히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신과 경험의 번역으로 확산된다. 예를 들어 인쇄술 발달로 널리 전파되어 책의 불변성이 가동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앞에 표시된 문헌; Latour 1986, 11)

5. 불변성이란 시각화된 것 혹은 기입된 데이터의 증거력을 부여한다. 이런 증거력 있는 불변체를 어디에서나 누구에게나 돌려주고 재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가동성이 있다고 말한다.

6. 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에서 중요하게 다룬 "번역"을 수행하는 행위자는 결국 다른 행위자들에게 간접적으로 그리고 포괄적으로 영향을 준다. 그런 영향력을 먼거리 지배력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먼거리에서도 보이지 않게 지배력이 파급되도록 하는 사물들 일체를 불변의 가동물이라고 한다.


****** 불변의 가동물을 이해하는 데 아주 좋은 문서 하나 : Lawson, Charles 2020, "Has Latour Really Unravelled the Real: The Journey from Laboratory Life to Down to Earth?" LawTechHum 14; (2020) 2(2) Law, Technology and Humans 22

--------------------------------------------------------------
지시의 연쇄 chains of reference – 레퍼런스는 단절/고립의 사물(양식)과 다르다
--------------------------------------------------------------
1. 불변의 가동물은 그것이 불변이라고 해도 여전히 세계를 그대로 묘사한 것은 아니다. 지도가 영토와 닮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약간의 실수를 하면서도(약간 헤맬 수도 있지만) 영토를 걸어간다. 불변체가 가동함으로써 변형이 일어나는데, 이런 불변체의 불연속적 변형은 연쇄적으로 일어난다. 그런 것을 라투르는 지시의 연쇄chains of reference라고 부른다. 윌리엄 제임스가 재밌는 말투로 표현한 "진리의 보행deambulatory"이라는 은유와 비슷하다. 연쇄 없는 지시체는 우리에게 아무런 경험을 주지 못하며 단지 편린 조각들의 나열에 지나지 않는다.(125-7)

2. 정신과 실재는 밧줄로 서로에 연결된 일대 일 대응체가 아니라 지시의 체인처럼 하나의 몸이다. 화이트헤드 이해방식으로 사건의 연속체라는 뜻이다.

3. 불변의 가동물을 만들 때 주로 원본, 영토의 눈에 띄는 특징을 추출extract한다. 그런 추출된 특징들은 그 자체로 알아보기 쉽지 않지만 그것들의 연쇄를 통해서 우리는 지도의 품질을 알 수 있다.(128)

4. 그런 추출된 지도표시는 오류도 있고 누락도 있다. 지도에서 무엇을 지시한다는 뜻은 오류를 보고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현실의 땅에서 reference지시체에 도달하는 길은 꾸불꾸불하고 불연속적이고 이성적이지 않아 보인다. 지도같은 현실의 영토는 없지만 지도없이 영토에서 지시체를 찾아갈 수 없을 것이다. 지도는 이성의 역할을 한다.(129) 그러나 현실의 영토는 지시체 하나로 독립된 땅은 없으며 모든 것이 연결된 망이다. 쉽게 말해서 지시의 연쇄 안에서 이성의 역할은 행동을 통해(실제로 영토를 걸어가면서) 불연속과 공백으로 가득한 단계를 뛰어넘는 도약을 경험한다.(130) 실제 땅을 걸어갈 때 지도와 영토는 별개의 존재양식이 아니라 연결된 크로싱이다.

5. 인식대상과 인식주체라는 기존 칸트 식의 인식론은 지시의 연쇄가 확장되어 누적된 결과물의 양단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대상과 주체인식이 대응된다는 말은 어불성설이다. 대응 이전에 이미 양단은 동전의 양면처럼 하나의 인식 연결망에서 작동된 것이다.

6. 연쇄라는 점에 집중하면 주체와 대상이라는 두 극단이 사라진다.(130)

7. 지시의 연쇄란 주체와 대상, 정신과 실재 사이에 매달려 있는 밧줄같은 것이 아니라, 정신과 실재를 하나의 몸으로 갖고 있는 길다란 뱀 같은 하나의 몸뚱어리다. 연쇄의 몸뚱어리는 어디라도 늘어날 수 있다.(130)

8. 쉽게 말해서 지시의 연쇄는 과학장치나 제도 과학자나 그들의 기술 등과 같은 상호 연동된 상주 지식들이 서로 관계하고 연관되는 방식을 말한다. 이에 중요한 점이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지식이란 고정pre-given된 것이 아니라 연관체 내부 다양한 요소들 사이에서 협상하거나 안정화되는 역동적 과정의 소산물이라는 점이다.

9. 다시 말하거니와 세계는 지시체들의 집합이 아니라 지시체의 연쇄들로 구성된다.

10. 지시의 연쇄를 이해한다면 인식주체와 인식대상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세계는 인식되는 사물이 아니다. 세계를 인식하는 정신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인식되는 세계와 인식하는 정신의 이런 이분법을 넘어서는 것이 바로 존재의 연결망이다.(131)

11. 기존 물질, 지시체라는 딱딱한 존재 관점에 머물고 있다면 지시의 연쇄라는 개념을 이해할 수 없다.

12. 지시의 연쇄는 지식의 연관성 파악을 위해 필수적이다.

13. (가장 중요) 불행히도 라투르는 이런 지시의 연쇄가 지식의 연관성으로 가는 통로를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기 어려운 것에 비유했다. (134)


--------------------------
지시의 연쇄를 통한 지식의 확장
--------------------------
1. 고정된 관점에서 탈피하여 관점의 이동displacing the viewpoint이라는 장치에 유연하다면 과학 지식은 무제한 확장될 수 있다.(135) 예를 들어 행성이나 은하계 연구하는 천문학자에게 갈릴레오의 굴절망원경에서 반사망원경으로의 발달, 최근의 허블 망원경에서 제임스웹 망원경의 발달로 인해 천체 지식은 놀라운 속도로 확장되었고, 한편 역학방정식의 발달로 인해 천체 지식은 정교한 엄밀성을 갖게 되었다. 천체는 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같지만 그 천체를 대하는 관찰수단과 관점이동의 누적된 변화가 지식의 확장을 가져왔다. 이런 과학의 변화가 지시의 연쇄를 설명하는 사례로 될 수 있다.

2. 여기서 지식 확장이란 지식 자체의 외적 확장도 있지만 내적인 의미로서 동일 지식이라도 다른 각도로 전개되어 새로운 창조를 낳을 수 있게 된다.

3. 지식을 우리와 절연된 객관적인 것으로 본다면 그런 지식은 환원불가능한 고립된 인식에 지나지 않는다.(137)

4. "지식 너머"란 자기 지식이 속한 양식이 아닌 다른 양식의 현존을 평등하게 존중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즉 다른 양식(영역)과 교차하여 자신의 궤적과 다른 지식의 궤적이 만나는 하나의 연결망을 이루게 하는 태도이다.

----------------------------------------------------------
과학에 기반했다고 주장하는 그들의(근대인) 진리대응설에 대하여 되물어보기(인류학적 질문)
----------------------------------------------------------
1. 과학 지식을 통해서 우리는 세계(실재, 사물)와 만나고 있는가?
2. 사물이라는 인식대상과 인식주체가 대응된다는 말이 실제로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는가?
3. 세계보다 앞선 인식의 틀이 과연 가능한가?
4. 세계와 명제(말)가 대응되고 있나?
5. 명제지식을 통해 우리는 세계를 인식하고 있는가?(116-7)

--------------------------------------------
진리대응론에 대한 반성과 대안: choreography(춤의 악보)
--------------------------------------------
1.상호-반응(co-response)이라는 대응이 정신과 세계 사이의 고정된 관계가 아님을 다시 강조할 필요가 있다. 탱고를 출 때 춤추는 두 사람은 상대 동작(세부 움직임)에 서로 반응해야 하듯이 상호-반응은 춤추는 동작 춤사위 하나하나를 연결하여 새로운 창작무로 형성시키는 안무결합choreography(안무악보)으로 되어야 한다.(138)

2. 그런 코레오그래피 즉 안무결합 없는 기존의 대응 지식론은 세계에 대한 지식을 올바르게 가질 수 없다고 주석자는 본다.

3. 한편에는 존재자 그리고 다른 한편에는 존재자에 대한 지식이 대응된다는 전통 대응론 주장은 일종의 과업분할division of tasks된 것으로 적합성의 오류일 수 있다.(139)

4. 존재existence와 그 존재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진리조건 truth condition이 분리되었다는 것이 과업분할이며, 이것이 바로 범주오류에 해당한다.(141)

5. 추상화된 범주를 만들어서 구체적인 범주를 상실해버린 상태의 비적합성 오류가 바로 과업분할의 결과이다.


------------------
재생산의 존재양식1
------------------
1. 화이트헤드의 ‘사건’의 철학을 조금이라도 들어본 사람이라면 ‘재생산’ 개념은 사건의 연쇄event sequences로서 존재한다는 점을 알 것이다.

2. 재생산 양식[REP]과 지시의 양식 reference [REF]의 교차(위험한 관계) [REP⦁REF]를 이해해야 한다.

3. reproduction재생산 존재양식은 공백과 도약을 통과하면서 적정성 조건을 충족하려 한다.

4. reference [REF]지시양식은 반드시 연쇄를 통하여 자기와 다른 상이한 양식에 결합되어야 의미가 있으며, 그때 비로소 양식 사이의 공백을 넘어서 연쇄가 확장된다. 연쇄 없는 지시는 공백과 불연속과 충돌된다.

5. 그래서 지시양식과 재생산 양식은 위험한 관계[REP⦁REF]로 교차되어 있다고 말한다.(146)

6. 다른 측면에서 보면, [REP⦁REF]는 주체와 객체의 결합을 의미한다.

---------------------------------------------
근대의 폭포효과 근대가 만든 주관과 객관의 이분화 - 근대인의 슬픔
---------------------------------------------
1. 이론과 실천의 차이의 간격이 너무 커서 마치 폭포의 낙차와 같다고 라투르는 비유한다. 그런 폭포가 떨어지는 소리 즉 근대의 폭포효과는 다른 모든 것을 집어삼킬 정도로 그 소리와 후폭풍이 커서 다른 것들 모두를 ‘어둠’ 속으로 가두어 놓았다. 이것이 바로 근대의 슬픔이다.(147)

----------------------------------------------------------
근대인이 자축하는 승리, 더블클릭double click의 존재양식 [DC]
----------------------------------------------------------
1. 실험실에서 환원가능한 단순 번역(displacement, translation; 직역)을 가능하게 하고 변형 없는 순수정보가 가능하다는 태도를 말한다. 근대인이 이루어 놓은 선명한 환원주의, 기하학적 추상화, 기계론적 물질관, 자연과 인간 혹은 물질과 정신의 이분법의 구도를 짜놓은 근대인의 직조기와 같은 방법론적 도구가 더블클릭의 존재양식이다.

2. 사물의 이질성을 부정하며 도약, 공백, 통과를 부정하는 진리관이다.

3. 연결망의 존재양식을 비이성적이라고 단언하며 상대주의자로 낙인찍는 사악한 천재(모든 것을 다 아는 악마evil genius)로 표현된다.(149)

------------------------------------
3장 결론: 근대주의의 역사를 정의하기
------------------------------------
1. 근대를 <이성> 지배의 출현과 확장으로 규정하는 표준적 정의에 따르면 이성은 더블클릭[DC]의 확장이며, 그들만의 진리기준(원천)을 고집하여, 자기 외에 다른 진리기준(원천)들을 모두 고사시킬 수 있는 위험을 갖고 있다.

2. 라투르는 이성 지배의 더블클릭의 존재양식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진리의 원천을 인정하고 유념해야하며, 이는 단순히 유념해야 할 과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존의 문제라고 지적한다.

3. 진짜 근대인이라면 거꾸로 진리의 다양한 양식들을 하나로 용융하지 말고 서로를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런 진짜 근대를 대문자 근대로 말할 수도 있다.

4. 꼬여진 근대의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역사의 실타래"를 직접 풀어가는 실천을 수행해야 한다. 불행히도 근대는 이런 실천을 오히려 역공격하여 비합리적이고 자의적인 것으로 낙인찍으려 한다. 이런 실천을 비합리성으로 몰아가는 근대의 ‘악마적 천재’evil genius같은 태도가 바로 진짜 오류라고 라투르는 강조한다.(150)

5. 기존 유물론의 물질 개념에서 벗어난다. 재생산 양식[REP]이 연쇄 없는 지시체로 빠져서 용융된 것이 근대의 제도화이며 이런 제도화의 결과가 근대의 물질 개념이다. 이는 근대 인류학의 주요 특징이다.

------------------------------------------
근대인 환상에서 벗어나도록 도움을 준 화이트헤드
------------------------------------------
1. 라투르에게 화이트헤드 영향력은 크다. "연속성의 생성은 있지만 생성의 연속성은 없다“there is a becoming of continuity but there is no continuity of becoming는 화이트헤드의 말은 재생산 양식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이다.

2. 화이트헤드 과정철학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기초개념은 현실체actual entities이다. 현실체는 세계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이지만 원자론적 구성방식과 전혀 다르다. 기존 형이상학의 원자론에서는 원자와 원자 사이의 관계가 형성되지만 화이트헤드의 현실체 존재론에서는 개체요소가 아닌 관계가 기본요소이며 그런 관계와 관계 사이의 [관계]가 현실체이다.

3. 현실체actual entities는 플라톤 존재론처럼 정지되고 불변의 존재가 아니라 변화하고 생성 중인 불연속적 관계의 단위이다. 생성 중에 있는 존재의 그 다음 현상은 예측불가능하고 무목적성이라서 화이트헤드는 생성의 연속성이 없다고 말한 것이다. 물론 과정 중에 놓여진 존재는 불변이 아니라 지금도 변하는 생성 과정에 있다.

4. 화이트헤드에서 “자연의 이분화"와 정신/세계 및 정신/물질 이분법적 분할은 거부되며, 일차 특성과 이차 특성의 구별도 거부된다. The "bifurcation of nature" and the mind/world and mind/matter splits are rejected, as is the distinc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qualities..

-----------------------------------------------------
구성주의 비판: 수리오의 쌍방향 구성 소개 - 뒤에서 다시 나옴.
-----------------------------------------------------
1. 사회적 구성주의를 교정하면서 라투르는 이 용어를 예술철학자 수리오Souriau의 ‘창설’instauration 개념으로 대신 설명하려고 한다. 라투르는 존재자가 자아나 사회로부터 투사된 구성결과라는 인간중심의 일방향 구성주의를 부정하고 그 대신 외부대상이나 세계가 인식자를 재구성하기도 하는 쌍방향의 구성을 강조한다.

---------------------
라투르의 기술 이해
---------------------
1. 라투르는 기술을 인공물이 아닌 기술화 활동으로 본다. 기술은 명사가 아니라 형용사나 부사, 간혹 동사로서 적절하다고 라투르는 말한다. 기술은 객체가 아니라 네트워크의 확장도구이며 확장해가는 땜질 역할을 하여 타자성에 내재하는 틈을 연결한다. 그렇게 네트워크는 확장된다.(Val Dusek 2014, Book review "Bruno Latour's An Inquiry into Modes of Existence: An Anthropology of the Moderns." in Notre Dame Philosophical Reviews(2014.03.11.)

----------------------------------------------------------------------
근대인과 원주민: 원주민을 원시인으로 간주한 근대인 탐구하기 – 발두색의 지적
----------------------------------------------------------------------
1. 라투르가 보는 근대인에 대한 태도는 서구인이 소위 그들이 말하는 "원시인"savages이나 "미신"superstitions을 조우하는 태도와 놀랍게도 비슷하다. 근대인은 어떻게 자신의 관념과 이론만을 가지고는 도저히 살아갈 수 없는지를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라투르의 인류학적 설명방식은 한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왜 그런 관념과 이론이라는 환상을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한 적이 없다고 전일론적 기술철학자 발두색val Dusek이 지적한다. 예를 들어 어는 집단의 문화가 타 집단의 문화에서 유래했다는 그런 방식대로 라투르는 근대인과 비근대인 사이의 차이를 잘 보여주기는 했지만 그 차이의 배경을 서명하지 않았다는 발두색의 서평이다.(Dusek 2014) - 이해가 잘 안되지만 말이다.

3장 해제 끝


philonatu

되돌아가기

전체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