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철학이란
의학의 철학 - 의철학이란?

(1) 의학의 철학, 의학과 철학, 의학에서 철학


펠리그리노는 의철학의 고유성 논지를 해결하는 결정적인 논증을 했는데, 그것이 바로 범주규정 논증이다. 그는 ‘의학의 철학’(of)과 ‘의학에서 철학’(in) 그리고 ‘의학과 철학’(and)이라는 세 범주를 선명하게 구분했다.

여기서 의철학이란 ‘의학에서 철학’과 ‘의학과 철학’의 영역까지 포괄하여 ‘의학의 철학’, ‘의학에서 철학’ 그리고 ‘의학과 철학’ 세 범주가 합쳐진 고유영역임이 강조된다. 세 범주 사이가 서로 선명하게 구분되어 있을 때 의철학은 더욱 분명한 자기 영역을 가질 수 있다는 뜻이다.

‘의학에서 철학’은 기존의 철학적 논증이나 주제를 의학적 문제에 적용시킴으로써 의학의 개념과 논리를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의학에서 철학이 가지는 의미를 드러내는 의학의 철학적 인식론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 펠리그리노 의철학의 기초이다. 예를 들어 비판적 반성, 변증법적 이성, 가치론, 제1원리에 대한 형이상학적 질문 등의 전통 철학에서부터 논리학과 분석적 추론도구와 윤리 규범 등 논리와 도덕적 주제들에 이르는 철학의 인식론과 존재론 및 도덕철학을 의학적 상황에 적용하는 모든 것이 의철학의 주제로 될 수 있다는 것이 펠리그리노의 주장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질론을 질병 분류에 적용하여 설명을 시도하거나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을 현대 정신의학의 조현증 증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면, 이런 논증들은 ‘의학에서 철학’에서 의미있는 주제로 된다.(권상옥 2008, 3-18)

의철학은 ‘의학과 철학’의 범주도 포괄한다. 펠리그리노와 토마스마가 보기에 철학은 임상의학의 상황을 직접 해결할 수 없지만 의사들이 일상의 직업행위에서 자신을 반성하고 성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Pelligrino and Thomasma 1981a, 29-30)

문장 말미에 표시된 참고문헌 자료찾기

이와 관련하여 의철학자 벌프는 의철학의 실용적 의미를 강조한다. 대부분의 임상의사는 의학 안의 철학적 요소들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임상의사에게 의철학은 새로운 의학적 사유를 제공하는 신선한 영역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이 벌프의 주장이다.(Wulff 1992, 85)

그래서 의학과 철학 사이에 상관성은 그 현실적 의미가 크다. 펠리그리노에서 철학과 의학은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사이에 깊은 상관성이 존재한다고 한다.(Pelligrino 1976)

<의학과 철학> (The Journal of Medicne and Philosophy) 창간호에서 펠리그리노는 그 상관관계를 강조했다. 퍼베이는 펠리그리노와 토마스마로부터 의철학의 첫 열매가 열린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의 절에서 언급했듯이, 의철학은 ‘의학에서 철학’과 ‘의학과 철학’의 범주 모두를 포괄한다고 펠리그리노는 논증했다. 퍼베이는 이런 펠리그리노의 의철학 범주규정 논증을 의철학 발전을 일으킨 가장 중요한 계기로 간주한다.(Verwey 1987)

철학과 의학의 연관성을 강조한 펠리그리노에 따르면 의학에서 심신론, 인지과학, 감각론, 언어 문제 등의 난제들이 해명될 수 있는 여지가 커지고 따라서 의철학의 영역도 자체적으로 더 확장될 수 있다고 보았다.(Pelligrino 1981, 29) 의철학 영역의 확장만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엥겔하르트와 마찬가지로 펠리그리노도 의철학의 고유성을 강조한다.

“의학은 과학과 의술과 인간에 대한 성찰과 지식 그리고 전문성과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생물철학이나 문학이나 역사와 사회과학 등이 각각 의학에 연관하여 기여를 하지만, 의철학은 그 어느 것과도 비슷하지 않다.”(Pellegrino 1986, 13)

(2) 의철학의 정의: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크다.


펠리그리노 의철학은 아래처럼 설명될 수 있다.

첫째 의철학은 의학 이론과 임상의학에 부딪쳤을 때 대상과 자아에 대한 반성력과 비판력, 추론능력과 가치판단의 통로를 제공하는 사유 시스템이다.

둘째 의철학은 의학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메타-의학에 속하며, 의학적 행위와 사유를 철학의 인식론과 형이상학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

펠리그리노가 말한 의철학의 정의를 기반으로 해서 의철학의 고유영역이 존재하는지 혹은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논지가 다음처럼 전개될 수 있다.

의철학의 영역이 규정된 범주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개방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논지는 의철학의 고유영역이 존재한다는 주장으로 연결된다고 펠리그리노는 말한다.(Pelligrino 1998, 319)

그러나 의철학의 영역을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확장할 수 없다. 왜냐하면 지나친 확장은 스스로 자신의 전문성을 희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의철학 자체의 정체성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펠리그리노에서 그런 약점은 단점이 아니라 의철학의 특징의 하나이다. 그렇게 단점으로 보이는 특징은 의철학의 정체성을 약화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의철학의 비판적 반성력을 확대하는 것이라고 한다.(Pelligrino 1998, 325)

현대 의학이 자연과학에 의존되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연과학의 단순한 한 지류가 아니다. 의학은 과학적 특성이 크지만 사회적 상관관계도 매우 높다. 또한 개인(환자)의 심리적 상태를 고려하는 인본주의적 특성을 중요한 영역으로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질병, 병환, 죽음, 치료와 예방에 관여하는 의학만의 고유한 영역이 있다고 펠리그리노는 강하게 주장한다.(Pelligrino 1998, 327)

의철학은 환자의 치유를 위한 인본주의적 통로라는 점에서 그 고유성을 가지고 있다. 의학의 영역은 다른 영역과 항상 소통가능하다. 의철학의 고유성은 본질적으로 고정된 영역이 아니라 확장되고 변화가능한 고유성이기 때문이다. 의철학은 주어진 하위 분야들을 단순하게 합쳐 놓은 것이 아니라 하위 분야들을 넘어서는 객체의 새로운 문제와 대안 그리고 주체의 성찰과 행복을 생성한다.

의철학은 의학과 철학을 단순히 합친 것 이상으로 새로운 사유체계를 낳으며, 환자와 의료인이라는 분화된 구조를 넘어서는 인간관계를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의철학이라는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의철학이 고유영역을 갖는다는 펠리그리노의 논리는 아래와 같이 정리된다.

① 의철학은 의학과 관련된 개별분야들의 단순한 총합이 아니며, 그 이상의 의미론적 지식체계이다. 의철학은 생물학, 문학, 역사, 사회학의 기여를 인정하고 포괄하면서도, 그 각각의 개별학문으로 종속되지 않는 자신의 고유성을 가진다.(Pelligrino 1986, 13)

② 의철학은 의학 자체와도 다르다. 의철학은 의학적 현상의 개념적 실체를 정의하고 설명하는 데 있다.(Pelligrino 1986, 14) 쉐퍼와 정반대로 펠리그리노에서 의학은 의학을 구성하는 과학들의 합 이상이다. 그래서 의철학의 고유 영역이 그 안에서 창출될 수 있다.

의철학의 고유성이 있다는 펠리그리노의 인식론은 자신의 유명한 논제인 ‘환자-의사 관계’를 다룬 임상의학의 관계론과 연결되어 있다. 환자중심의 환자-의사의 관계성이 의학의 전체는 아니지만 중요한 의미라고 펠리그리노는 주장한다.

환자-의사 관계를 지향하는 의료인의 임상행위는 의학의 핵심인데, 이는 의과학만을 통해서 충족될 수 없고 사회의학만을 통해서 충족될 수 없으며 또한 휴머니즘만을 통해서 충족될 수 없다. 의과학과 사회의학, 그리고 인본주의 의학이 합쳐지되, 그 사이에 의철학이라는 접착제를 필요로 한다.(Pelligrino 2001, 171-177)

스탬시는 펠리그리노보다 한발 더 나아가 의철학의 과제는 의사-환자의 관계만이 아니라 환자와 의사를 포함한 인간 일반의 인간본성론을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의철학의 고유성은 의료윤리, 환자-의사 관계성, 인식론과 심신론, 형이상학과 세계관 그리고 인간본성론을 포괄한 영역을 창출하는 데 있다고 했다.

스탬시의 이런 주장은 의철학의 고유영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단순한 주장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의학을 보는 관점과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에서 근시안적 태도를 탈피해야 한다는 의학적 성찰을 강조하는 데 있다.(Stempsey 2004, 246)

출처: 최종덕 지음, 의학의 철학. 씨아이알출판사 2020/2023, 12-17쪽.

문장 말미에 표시된 참고문헌 자료찾기
의학의 철학

되돌아가기

전체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