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에 그려진 원근법

형상미술가 김진열 작품전 <모심>에 붙이는 글

최종덕



가슴에 그려진 원근법



1. 하늘에 맞닿는 방법

김진열이 마주한 나무는 화폭 안에 모사된 사물이 아니라 그의 모세혈관으로 이어진 숨결의 형상이다. 나무는 그의 가슴 속에만 머물지 않는다. 그의 나무는 하늘에 맞닿아 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이웃집 토토로’처럼 혹은 영국 전래동화 ‘콩나무의 재크’처럼 하루 사이에 위로 뻗친 나무를 타고 억지로 하늘까지 오르지 않아도 김진열의 나무는 하늘에 그냥 맞닿아 있다.

그의 나무가 하늘에 맞닿아 있는 방식이 매우 독특하다. 나는 그의 방식을 “가슴에 그려진 원근법”이라고 부른다. “가슴에 그려진 원근법”은 화폭에 그려진 원근법과 다르게 나무를 보는 나의 마음 안에 새겨진 미학적 시선이다. 나무 바로 밑에서 나무 위를 쳐다볼 때 나무의 높이는 하늘에 맞닿을 정도로 무한에 이른다. 그래서 구태여 나무를 하룻밤 사이에 키울 필요 없이 나무 밑에 누워서 나무 위를 쳐다보면 누구나 하늘에 올라갈 수 있다.

“가슴에 그려진 원근법”은 작가에 의해 주어진 시선과 다르다. 나무를 바라보는 우리들의 가슴으로 보는 마음의 시선이다. 김진열의 나무를 보면서 우리는 하늘에 닿기 위해 억지로 나무를 타고 올라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읽을 수 있었다. 나무가 뻗쳐진 하늘을 기어이 차지하려고 더 높이 올라가려는 사람은 그 순간에 꼭대기는커녕 나뭇가지가 부러지면서 바닥으로 곤두박질치며 떨어지고 만다. 나무 밑에 기어서 엎드리고 뿌리와 더불어 줄기를 껴안고 가지를 기리며 이파리를 모시다보면 우리는 어느새 하늘에 맞닿게 된다. 우리는 나무 밑에 기기만 하면 된다. 나무 밑에 엎드리고 나무를 모시면서 아래서 위로 쳐다보기만 해도 나무는 무한대의 높이로 변신된다. 이러한 모심의 마음이 곧 “가슴에 그려진 원근법”이다.


2. 생명을 호흡하는 두 가지 숨길

김진열의 나무는 화폭에 그려진 원근법의 형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우리들 안에 숨겨진 “가슴에 그려진 원근법”이라는 심선心線의 실재이다. 그의 가슴에 그려진 원근법으로 드러난 미학은 그만의 가슴에 머물지 않고 나무와 세계 사이에 공유된 생명 자체이다. 김진열의 가슴에 그려진 원근법은 우리에게 생명을 호흡하는 두 가지 숨길을 은근히 보여준다.

하나는 투박하고 차갑게 보이는 종이와 쇠붙이 안에 생명의 숨결을 담아낸 생명의 원근법이다. 그의 나무에서 드러난 생명의 원근법으로 표현된 자연스러운 생명은 억지춘향의 규정과 관습에 갇혀져 있지 않다. 만들어진 의미를 거부하는 그의 생명 원근법은 그만의 독특한 사회적 미학이다. 그의 투박하고 차가운 나무 표면은 그저 그렇게 존재하고 그저 그렇게 살아간다는 자연스러움의 상징이다.

그의 나무는 더불음(공생)이나 모심(공경)이나 낮춤(겸양)을 향하고 있지만 억지로 공생이나 공경 혹은 겸양의 도덕적 의미를 강조하지는 않는다. 그의 나무는 아무리 좋은 덕담도 가르쳐들거나 남들을 훈계하려 하지도 않고 하늘에 닿을 수 있다는 메시아를 주는 것도 아니면서 그냥 그저 그렇게 하늘을 바라보고 있을 뿐이다.

다른 하나는 너를 모시면서 내가 모셔지는 행복의 원근법이다. 이렇게 서로 모시며 사는 법을 김진열이 우리에게 보여준다. 나무 밑에 더 바짝 붙어서 엎드릴 때 비로소 나무 끝이 하늘에 맞닿게 됨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의 화폭 뒤에 배선된 스피커에서 들리는 소리가 있다. ‘하늘의 숨결을 호흡하기 위하여 나무를 타고 굳이 위로 올라가지 마라, 그냥 나무 밑에 엎드려 아래에서 나무를 모시라.’


2016년 8월
김진열의 나무들을 숨쉬며 최종덕이 쓰다
김진열의 형상미술 리뷰

되돌아가기

전체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