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it in /hosting/philonatu/html/archive/archive_view.php on line 8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title - assumed 'title'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sting/philonatu/html/archive/archive_view.php on line 94
통일한반도와 생명철학: 한반도 생명선 프로젝트 제안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description - assumed 'description'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sting/philonatu/html/archive/archive_view.php on line 124
ecological unification

통일한반도와 생명철학 : 생명철학기반 통일담론과 그 실천모형

1.  생명철학 기반 통일담론
2.  생명철학 : “생명”의 철학적 의미
3. 생명철학에서 통일담론으로
4. 통일담론의 실천적 조건들
4.1  다양성과 평등성: 특이성의 실천적 조건
4.2  (상리) 공생성과 존중성 : 상관성의 실천적 조건
4.3  교환성과 자주성(연속성) : 순환성의 실천적 조건
4.4  통합성과 세계성 : 생명의 역사성에 따른 실천적 조건
5.  생명철학 기반 통일정책이 가져다주는 실질적 효과
6. 생명철학기반 통일담론의 실천모형 사례 : 통일한반도 그린벨트 프로젝트(CPLK Project)

가칭 “한반도 평화상생 생명선” 프로젝트 (Coexistent Peace Lifeline of Korea)를 사례로 들 수 있다.
기존의 휴전선 지대(238km), 백두대간(1625km), 한반도와 중국/러시아 국경선 지대(  1672km) 출처: "Land boundaries", CIA World Factbook 2016
를 그린벨트지역으로 조성하는 동아시아 중장기 협력사업 형태로 구상된다. 지정학적으로 그린벨트 개념은 생명철학적 “생명선”Life-Line개념 위에서 그 실천가능성이 담보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 말해서 지정학적으로 백두대간 그린벨트, 휴전선 그린벨트, 국경선 그린벨트로 구분되며, 생명철학적으로는 통합의 생명선, 치유의 생명선, 소통의 생명선으로 구성된다. 

통합의 생명선 :
(1) 백두대간 그린벨트 지역이며,  지리산에서 향로봉까지의 백두대간 남쪽 690km 구간과 향로봉에서 백두산까지의 백두대간 북쪽 935km 구간으로 나뉜다.
(2) 한반도 깃대종 생태계로 조성한다.
(3) 맨 북쪽의 범(시베리아 호랑이)과 맨 남쪽(고성)의 공룡발자국 화석에 이르는 시공간의 통합적 상징을 담아내는 국제적 생태보전지역으로 조성한다. 


치유의 생명선 :
(1) 휴전선 그린벨트로서 248km 구간이다.
(2) 분단의 아픔을 치유하고, 분단의 역사를 기억하고, 통일의 미래를 구상하는 한민족의 미래형 생태적 니치niche를 구축한다. 

소통의 생명선 :
(1) 국경선 그린벨트 : 백두산 서쪽 국경선 구간: 백두산에서 신의주까지 국경선 서쪽 900km 구간과 백두산 동쪽 국경선 구간: 백두산에서 신의주까지 국경선 동쪽 600km 구간으로 나뉜다.
(2) 중국내륙 사막화방지 연구단지, 만주시베리아 침엽수생태계 연구단지, 범지구적 탄소감축과학단지 등의 기후변화 과학기술연구단지를 국제네트워크 방식으로 조성하며, 국제자연보전지역을 만든다.

전문은 아래 pdf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site - assumed 'site'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sting/philonatu/html/archive/archive_view.php on line 128
통일인문학연구단 학술심포지엄

되돌아가기

전체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