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과학철학의 흐름
2001 에세이 : 현대과학철학의 흐름 - 교원대 신문사 (10월29일) 게재

현대 과학철학의 흐름



사회철학, 종교철학, 언어철학, 정치철학과 같이 과학철학도 철학의 한 분과로서 다루어진다. 이러한 분과철학의 내용은 이미 고대 희랍철학에서 부터 이야기되어 왔으나 독립된 분과철학으로서 이름 붙여진 것은 최근의 일이다. 그 각 분과철학은 대상을 달리하고 있으나 그렇다고 독립된 방법론을 갖는다는 것은 아니다. 과학철학은 서양철학의 거의 모든 문제 속에 반영되고 있으며, 다른 분과철학에 방법론을 제공하는 위치에 서있다. 특히 고대 자연철학에서 칸트에 이르는 근대 인식론의 논의는 과학철학의 주요 방법론적 논거들을 대신 말해주고 있는 것과 같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위에 정초된 형이상학의 존재론적 근거인 실체substance의 역사는 곧 서구철학과 과학의 역사이기도 하다. 신이나 절대자로 혹은 이데아나 과학법칙으로 옷을 다양하게 갈아입고 나타나는 무소불위의 실체는 중세 유명론 논쟁에서 시작하여 근대 경험론자들에 의해 조금씩 반성되기 시작했다. 근대 경험론자인 흄(Hume)은 추상적인 실체의 존재를 전면적으로 부정하여 인식의 근거를 외적 감각자료에만 두었으며, 이후 이런 전통은 베이컨(Bacon)의 실험과 관찰의 정신 그리고 이를 발전시킨 마흐(Mach)의 실증주의를 거쳐 20세기 초 논리실증주의를 탄생시키는 주요한 계기가 된다. 또한 논리실증주의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 비트겐슈타인의 초기철학인 명제적 원자론이다.

흄은 대상(objekt)을 세계구성의 최초 원자적 단위로 본 반면, 비트겐슈타인의 원자론은 사실(Tatsache)을 세계의 기본단위로 보았다. 다시 말해서 흄은 세계를 인식하는 기본단위를 경험적 ‘인상’에 둔 반면, 비트겐슈타인은 명제를 구성하는 사건을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흄의 세계는 사과, 소나무, 태양, 컴퓨터 등의 개체들의 집합이며, 비트겐슈타인의 세계는 “사과가 익었다.”, “소나무는 푸르다.”,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이다.”와 같이 명제를 구성하는 사실들의 집합이다.

그러므로 과학적으로 의미 있는 명제는 그 명제가 지시하는 사태가 실제로 있는지를 살펴보면 된다. 사태는 논리적으로 가능한 사실이며, 사실은 실제로 있을 수 있는 사태이다. 사태에 해당하는 명제는 모두 유의미하며 사실에 해당하는 명제도 역시 참이다. 유의미한 명제는 사태의 논리적 그림이며, 무의미한 단어의 결합이나, 사실과 대응이 안 되는 형이상학적 명제는 겉으로 보기에 명제이지만 사실은 사이비명제라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응주의를 그대로 답습한 논리실증주의의 주된 관심사는 논리적으로 정확한 언어의 구성에 있다. 그리고 이는 과학철학이 다루는 과학방법론의 주류였다.

논리실증주의는 경험적으로 검증된 것만을 의미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검증주의로 발전했다. 후일 이러한 검증주의의 딱딱한 기준이 붕괴되면서 확증주의, 그리고 더 나아가 포퍼(Popper)의 반증주의의 과학철학이 20세기 중반을 풍미했었다. 포퍼의 진리기준은 반증주의라고 하지만 여전히 검증주의의 수정된 부분일 뿐이며 과학의 탐구방식을 이성의 도구 안에 묶어 놓은 것이다. 포퍼는 검증주의가 갖는 검증의 완전실현성 문제에 회의를 하면서, 반증주의가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소나무는 겨울에도 푸르다.”라는 보편명제를 증명하기 위해서 원칙적으로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 하나도 빠짐없이 - 소나무를 관찰해야만 한다. 실제로 이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오히려 푸르지 않은 한 그루의 소나무를 찾아내기만 한다면 위의 보편명제는 거짓으로 증명되며 따라서 위의 보편명제 혹은 일반법칙은 폐기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폐기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야만 오히려 과학법칙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이것이 반증주의의 기본내용이다.


20 세기에 들어와 자연과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세밀하게 전문화되면서 과학과 철학은 분리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철학의 인식론과 존재론이 과학의 법칙과 현상들을 제대로 설명해 주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예를 들어 기존의 과학방법론 형성의 근거인 합리적 이성은 과학의 자연학적 현상들과 과학탐구의 사회학적 변이구조들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이다.

과학탐구는 분과과학의 이론 내적인 기준을 통해서만 보려는 합리주의에서 벗어나, 이론 외적인 기준들 즉 과학자 개인의 심리적 취향, 과학자 집단 공동의 보수성과 이해관계 등이 과학이론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는 반합리적 과학철학도 크게 대두되었다. 한 이론이 다른 이론으로 전이될 때 그 전이기준이 합리적인가 아니면 종교 개종과 같이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변화인가를 이야기하는 소위 역사주의적 관점이 쿤(T.Kuhn)에 의해서 제시되었다. 쿤의 과학철학은 이제 철학에서보다는 사회과학에서 더 많이 논의될 정도로 확산되었다.

쿤의 과학혁명은 대립되는 과학이론 사이에서 이론 내적인 합리성의 잣대가 아닌 오히려 과학자 집단의 이해관계나 사회적 분위기 등과 같이 비합리적 요소에 의해 기존의 과학이론이 전복되는 현상을 일러 말하고 있다. 과거의 것과 새로운 과학은 혁명적 전이를 일으킨 것이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 공통된 언어의 교량이 없으며 따라서 서로 간에 언어적 교통을 할 수 없다. 결국 쿤의 과학철학은 기존의 합리적 정당화주의자들이 볼 때 완전히 비합리적 기준으로 과학이론의 전이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론을 패러다임 전이(paradigm shift)라고 말한다.

이러한 전이는 연속적으로 그리고 누적적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갑자기 그리고 단속적으로 일어난다. 앞선 두 가지 방향을 크게 보아서 검증주의나 반증주의와 같은 정당화주의 (Justification)라고 불리우는 합리주의 노선의 과학철학과 역사주의라고 불리우는 반합리주의 노선의 과학철학으로 나눈다. 이러한 과학철학은 합리주의이건 반합리주의이건, 기본적으로는 영미계통에서 많이 논의되는 과학의 방법론에 대한 철학적 논거이다.

반합리주의 과학철학에서 더욱 강경한 노선인 파이어아벤트(Feyerabend)의 철학적 무정부주의적 과학철학 혹은 폴라니(Polanyi)의 환원주의 비판의 과학철학이 있다. 파이어아벤트의 과학방법론은 “무엇이라도 좋다”(anything goes)라는 그의 간판명구처럼 정형화된 방법론 자체를 부정하고 있다. 실제로 과학이나 예술 더나가 신화까지도 포함해서 그 중에 어느 것이 더 낳은 방법론적 체계라고 볼 수 있는 이성적 기준은 없다고 그는 말한다. 이러한 과학철학은 최근의 포스트모더니티 논쟁에 한 몫을 하고 있다. 합리성이라는 사유의 도구로 정형화한 모든 것을 해체하고자 하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생각이 파이어아벤트의 “무엇이라도 좋다”라는 생각과 근원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이다.

과학방법론의 과학철학은 원래 인식론적 탐구태도에서 나온 줄기이다. 반면에 과학적 탐구대상의 존재론적 지위를 묻는 존재론적인 방향에서의 과학철학이 있다. 이런 존재론적 과학철학은 유럽 쪽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으며 현대 자연철학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려진다. 여기서는 과학적 실재가 무엇인지를 물으며, 현실 자연과학의 물질관 및 우주관에 대한 철학적 탐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뉴턴역학의 공간론을 다룬다든가, 인과율에 대한 양자역학의 반론은 철학적으로 무슨 의미가 있는지 질문한다. 또한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본 우주진화론을 이야기하며, 고에너지물리학에서 본 물질론이며 혼돈이론(chaos theory)에서 말하는 자연세계의 질서가 어떤 철학적 의미를 지니는지를 연구한다. 이러한 자연철학 계통의 과학철학은 과학방법론의 과학철학과 달리 형이상학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다.

형식의 방법론보다는 과학의 내용을 다루는 이런 자연철학의 경향이 최근 들어 미국에서는 인식론적 자연주의라는 틀로 발전하고 있다. 심신론에서 인지과학이나 진화론의 철학에서 생물철학에 이르는 아주 구체적인 과학성과의 내용을 존재론적 혹은 해석론적 범위에서 다루는 인식론적 혹은 과학적 자연주의는 현재 영미나 유럽 모두의 과학철학에서 가장 빈도수 높은 탐구영역이 되고 있다.

이렇게 과학철학을 그 탐구방식에 따라 설명해 보았으나, 그 각각이 고정된 영역을 갖는 것은 물론 아니다. 과학철학은 과학에 대하여 반성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과학적 세계관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것이지만, 그 반성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인간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과학철학은 인간학에서 출발해야 한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과학이 차지하는 현실적인 영향력을 고려할 때, 과학철학은 넓게 보아서 학문기초론이며, 문화철학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과학철학이 형식과학의 범주 안에 갇혀서는 안되며 구체적 내용을 담은 종합과학(synoptic Science)이 되어야 한다. 그러한 종합과학의 가능성은 현실 개별과학의 변화를 눈여겨보는 세심한 태도와, 철학과 과학을 상보적으로 이해하려는 태도에서 나온다.

이렇게 과학철학을 좁은 철학적 논쟁거리의 틀에서 탈피시킴으로써, 과학철학은 과학과 인간의 역사를 상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끝>

교원대 신문사

되돌아가기

전체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