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의 공간문화” 에 대한 논평
2002 토론 : 홍성태 교수의 “청계천의 공간문화” 에 대한 논평, 제3회 청계천 살리기 심포지엄, 2002.5.17-18, 토지문화관,

청계천 주변 공간문화에 대한 실질적 행정대안
최종덕(상지대학교)


홍성태 교수님과 임정희 교수님의 제안에 대하여 당연히 찬동한다. 이는 제안 혹은 의견이 아니라 필연의 역사적 당위이다. 어제 1주제와 2주제 발제문을 받지 못해 미리 안 읽어으나, 청계천 복원문제는 경제적, 공학적 문제에 국한하여 해결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시민 그리고 행정관리와 더불어 문화적, 생태적 사유의 공감대를 확장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홍성태 교수님의 청계천 공간문화 제안과 임정희 교수님의 생태적 상상력을 실질적으로 구현시키기 구체적인 가능성을 다양한 각도에서 추려 보았다. 물론 당장 현실 가능하지 않은 것도 있으나, 행정가와 시민의 결합된 의지만 있으면 모두 가능한 일이다.

돈과 교통 때문이라는 일반적 우려는 실제로 우려에 그칠 뿐이다. 공사비, 보상비의 막대한 비용도 기대 경제효과 산출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돈이다. 교통 혼잡도 우려는 사실 검증된 것도 아니면 철저한 임상조사를 거친 후에 충분한 대체안이 나올 수 있다. 혹은 유럽도시처럼(뮨센, 비인, 파리) 의도된 복잡화 교통행정이 교통량의 감소효과로 나타난 사례를 주목한다. 그래서 이제는 복원을 위한 긍정적 가능성만이 남았다.

22년 동안 청계천에서 살았던 나의 정서적 추억과 이성적 기억을 더듬어 다음의 몇몇 구체적인 시행 대안을 생각해 보았다.


1. 문화적, 생태적, 장기 경제적 측면에서 본 복원의 당위성에 대한 시민의식 고취

2. 여야 정당의 공동정책으로 결합

3. 지역주민에 대한 물적 보상
-시민단체 및 추진단체들도 주변 상인의 이해관계를 님비현상으로 간주해서 안 된다.

4. 교통문제에 대한 불안감 해소

5. 복원 실질비용 확보
- 서울시 예산, 재경부 특별예산, 환경/생태 관련 외국 펀드 유치

6. 지역주민의 이해관계와 주변 교통량 및 도로 구조를 감안한 단계별 복원

7. 복원 시민위원회 설립 및 복원공사 공동팀 운영, 서울시 행정관리의 외국사례 견학/유학

8. 주변 유입 작은 개천과의 연계 복원 - 장기적 프로젝트

9. 청계천 유입수 관리의 일원화
- 중랑천, 신설동 개천, 인왕산 개천의 하천 유입수에 대한 철저한 오수처리시설

10. 청계천 종축 유입도로 유연성 확보
- 신설동 R, 동대문 R, 삼일로 R, 1호터널-중앙극장 R 주변도로와 연계

11. 청계천 횡축 청계로-을지로 사이 소상가 골목길 일방차로 구축

12. 청계천 녹색둔치 접근 용이성 확보

13. 주변 상가의 새로운 상권 형성 및 기존 상가와의 연계된 기획
- 세운상가, 동대문시장, 평화시장, 동대문의류상가(밀레오레 등), 황학동 시장
- 상권 재개발에 대한 기대효과: 현재 청계로/을지로 및 사잇길에서 발생하는
상가물류 반입운송 정차 차량에 의한 혼잡도 해결

14. 길거리 공원 및 길거리 관광상가 조성 프로젝트

제1지구(공원지구): 인사동-파고다공원-수표교

제2지구(관광상권지구): 종묘-세운상가-구 국도극장
- 전자상품, 잡화 소상인 특화, 리어카 행상인 양성화

제3지구(세계의류중심지구): 청계천6가-동대문-동대문운동장
- 의류상가 특화, 봉제단지 재개발, 국제의류전시관

제4지구(관광상권지구): 황확동 지구
- 중고책방 거리, 고물/안티크 소상인 특화, 상시 벼룩시장으로서 매우 유망

제5지구(도시산책로):창경궁-종묘-세운상가-구국도극장-구대한극장-
한국의 집 좌측 골목도로- 남산으로 이어지는 종축 산책로 조성
- 흙자갈 도로, 폭 3.5미터 정도의 소폭 인도


15. 예상되는 기업자본의 청계천 주변 건축물 로비 및 불법 방지 조례

16. 전태일 노동자 기념관 설치
제3회 청계천 살리기 심포지엄

되돌아가기

전체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