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희망, 희망의 과학

교수신문 - 문화시평 연재
2005  문화시평 : “과학의 희망, 희망의 과학”, 교수신문(8월20일)
2005  문화시평 : “면역학의 철학과 황우석 신드롬”, 교수신문(9월26일)
2005  문화시평 : “그들, 기득권의 피해의식과 과잉반응”, 교수신문(10월31일)
2005  문화시평 : “쌀알 대신 반도체 칩알을”, 교수신문(12월12일)

과학의 희망, 희망의 과학


2005년 8월 20일

서구 사상사에서 최초의 진보 개념은 “비어있음”을 채우고자 하는 로고스의 열망과 그림자로 가득한 현상계 이면에 존재한다는 진리의 이상세계 추구라는 고대 그리스 철학의 여정에서 잉태되었다. 기독교가 정착된 이후 이러한 진보 개념과 종교적 구원의 목적론적 관념이 절묘하게 결합되었다. 근대 계몽주의와 함께 이상세계를 실현하기 위한 통로가 바로 근대과학 혁명의 전선들이다. 여기서 완전한 운동역학 체계를 완전하게 파악하려는 것이 과학의 목적이며, 그 목적으로 가는 과정을 진보라고 못 박았다.

산업혁명 이후 과학의 진보와 기술의 발전이 혼재되면서, 진보된 문명이 야만사회를 구원해야 한다는 서구 제국주의의 정당성을 그들의 진보 개념에서 찾았다. 이러한 진보관의 왜곡은 19세기 영국 빅토리아 시대에 와서 극성을 부리기 시작했다.

왜곡된 진보와 변형된 자유의 관념이 만나는 빅토리아 시기 이후, 그들의 진보관은 오히려 약육강식의 편제로 재무장한 사회적 보수 집단의 핵심논리를 정착시켰다. 이러한 서구 관념의 재무장이 오늘날 영원무궁하며 미래가 분명히 존재하는 문명발전의 신화를 낳게 한 사상적 배경이 된다. 결국 진보 관념은 발전 목표가 확정된 목적론적 세계에 밀착되어 있다.

진보에 대한 또 하나의 왜곡은 현재의 기술지배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 과학과 기술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서 서구철학에서 본 진보는 진보의 끝이 현실 속에 존재하지 않지만, 기술 진보의 끝은 현존할 수 있다는 인간의 신뢰에서 시작한다는 점이다. 오늘날 서구 문명의 병리적 현상을 거론하면서 서구과학이나 데카르트 이원론에 그 책임을 미루는 습관이 생겼지만, 이 또한 과학과 기술의 혼동에서 나온 발상이다. 그 혼동은 ‘과학의 희망’과 ‘희망의 과학’을 구분하지 못 한데서 기인한다.

예를 들어 과학은 인류에게 희망일 수 있으나 인간의 희망이 곧 과학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혹시 그런 과학이 있다면 오래가지 못해 그것은 과학이 아니라 하나의 사회적 도그마이었던 것으로 밝혀지게 된다. “평화적인 핵 이용의 기준은 나만이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생명복제기술은 인류 의료복지에 신기원을 마련할 것이다”, 혹은 “실리콘 밸리가 미래경제의 주춧돌이 될 것이다” 라고 자꾸 강조하여 희망을 말하는 순간 그것은 과학의 희망에서 어느새 희망의 과학으로 변신한다는 점이다.

연금술과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 생물학적 우생학과 히로시마의 원폭, 과학으로 포장한 교회의 창조론이나 구소련 뤼셍코의 획득형질이론 등, 인간이성의 역사 속에 드러난 오도된 희망의 과학들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었다.

희망의 과학들은 어떤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교조적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무엇인가를 이루려는 원대한 꿈과 희망이 과학의 내용을 오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거대한 인간복지 혹은 윤리적 책무라는 구실로 과학의 본질을 포장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과학과 사회의 접합성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사회적 당위를 과학적 현실로 의도적으로 교체하는 기획된 과학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기술과 과학을 구분하지 못한 데서 생기는 오류를 낳기도 한다. 심한 경우는 과학적 창조론처럼 과학적 이성을 종교적 신앙으로 간단히 대체해버리는 경향도 있다.

이런 거대담론에서 벗어나 작은 실험실이나 정책 사무실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더라도 희망의 과학은 무성하다. 실험결과를 정해놓고 맞춤실험을 하는 경우, 진화론을 아직도 진보의 자연관으로 알고 있는 경우, 전통의학과 민족의학을 강조하는 한의학 실험실에서 실험대상만 한약제일뿐, 실제로 하는 실험은 거의 서양과학 방법론의 아류에 지나지 않는 경우, 실험실을 운용하는 책임교수들이 반과학적 군대식으로 관리하는 경우, 과학입국을 지향한다고 정책적으로 말하면서 기초과학을 모조리 말살시키는 주변의 무수한 경우들, 일일이 거론할 수 없을 정도다.

나는 인문학자이지만 ‘과학의 희망’을 찾아가는 일 역시 중요하게 여긴다. 단지 기술지배에 의한 왜곡된 과학 진보와 과학의 보수화로 점철되어가는 ‘희망의 과학’을 경계할 뿐이다. <끝>

원문 보기
교수신문

되돌아가기

전체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