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복제자이론에 대한 논평
한국과학철학회 2007 동계 학술대회
2007년12월7일 진주 경상대학교

    • 발표: 장대익(서울대) "일반 복제자 이론: 유전자, 밈, 그리고 지향적 자세"
    • 논평: 최종덕(상지대)

    • 발표: 김효은(서울대) "색 항상성과 지각경험의 내용"
    • 논평: 이영의(강원대)

    • 발표: 이상욱(한양대) "이해관계 충돌과 과학연구의 윤리"
    • 논평: 신중섭(강원대)

    • 발표: 박일호(한양대) "제프리 믿음 갱신 규칙과 적용가능성"
    • 논평: 여영서(동덕여대)

    • 이영의(강원대), M.R.Bennett and P.M.S.Hacker,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uroscience, 2003, Blackwell

    • 송상용(과학기술한림원), "지난 이야기들: 과학윤리와 나, 1995-2007"


일반복제자이론에 대한 논평문




생물학과 문화가 만나는 통로는 다음과 나눠볼 수 있다.

● gate1: 존재론적 환원주의 - 우생학과 유전자 환원주의처럼 강한 일원론적 포섭이론
● gate2: 설명적 환원주의 - 유전자의 생물학적 shift(drift)와 문화적 변동과 유형이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는 구조적 등치이론
● gate3: 현상적 환원주의 - 20-30년대의 통일과학운동같은 강한 물리주의가 아니지만 심리학적 현상을 진화생물학적으로 설명가능하다는 진화심리학과 같은 입장들
● gate4: naturalized epistemology
● gate5: 현대자연철학적 관점
● gate6: 동양적 자연주의

이 논문의 방향은 일반복제자이론의 구축이다. 일반복제자이론의 목적은 사회적 문화현상과 생물학적 유전자 변이과정을 종합하려는 거대한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그런데 너무나 거창한 작업이라서 철학적 배경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우선 도킨스가 밈을 도입한 배경을 따져보는 것이 이 논문을 읽기 위한 중요한 전제라고 생각한다.

도킨스는 오판의 역사 전범인 뤼셍코 이후 사회생물학에 대한 비판이 엄청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또한 도킨스 자신과 윌슨을 강하게 비판한 굴드 진영의 사회생물학 논쟁을 잘 알고 있었다. 도킨스나 윌슨이나 (앞과 같은) 방식1의 생물학적 환원주의를 강하게 고수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런 강한 생물학적 환원주의는 시대착오라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도킨스가 밈을 설정한 이유는 생물학적 유전자로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문화의 영역을 인정하고, 또한 인정하지만 그런 영역조차도 과학의 영역으로 포섭하려는 과학자 일반의 기본태도를 갖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밈과 유전자가 같은 존재양식이라는 일원론적 견해가 아니라, 그 둘은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구조로 설명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견해로 받아들여야 한다. 미묘한 차이이지만 그 차이를 놓치면 다른 결과를 생산할 수 있다.

자동차 공장에서 동일 생산라인일 경우 같은 기종의 자동차를 복제할 수 있다. 생산라인이 같을 경우 시간의 흐름과 무관하게 생산된 자동차는 동일한 복제품이다. 반면 복사기에서 복사된 A4용지의 문건은 복사하면 할수록 흐려지고 어떤 때는 변형되기도 한다. 복제자의 조건이 되려면 우선 변이의 폭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하는데 이런 조건이라면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복제된 자동차들은 복제자 조건이 맞을 수 없을 것이다.

문화를 일반복제자 이론 안에 가두려면 문화의 다양성, 문화의 자기복제 가능성, 문화간 fitness와 그 결과들, 영장류 유비연구로는 엄두도 못내는 인간사회의 권력구조 현상 등, 을 총제적으로 연구하는 말 그대로 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야만 장대익 선생의 거대프로젝트가 완수될 것 같은 느낌이다.

필자께서는 밈 외에 데닛의 지향성이론을 도입하였다. 지향성 이론은 확실히 기존의 이분법적 갈등을 해소하는 기능을 분명히 갖는 듯하다. 도킨스의 유전자 단위의 복제자는 개념적으로는 매우 산뜻distinct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계통진화를 밝히는데 유용하지 못하다는 것이 일선과학의 통념이다.

반면 헐의 상호작용자는 애매한 개념이지만 발생학과 진화론을 연결시킬 수도 있는 메타포를 함의하고 있다.

이 둘의 장단점을 보완하는데 지향성이론이 조금 더 그럴듯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도가 너무 앞서 간 개념이 지향 복제자라고 여겨진다. 나는 원래 장선생님이 evodevo의 투망을 던진다면 지향복제자 개념을 일반화 시키는데 더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다.


윌슨이나 도킨스나 데닛 모두 종교를 비판적으로 다룬다. 그러나 종교성 혹은 종교적 마음상태 는 인정하며 이는 원형심리학folk의 한 갈래로 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도킨스나 윌슨 입장이건, 얼마 전에 종교 관련 좋은 책을 낸 데이빗 슬로우 윌슨이건 굴드의 스팬드럴로 보건 간에 그들의 종교 편력은 대충 아래와 같이 연속적이다.


반종교성 강함☚ **************************************** ☛반종교성 약함(상대적)
도킨스 ****** 굴드 ****** 데닛 **** M.루스 ***** E.윌슨 ****** D.윌슨


종교비판주의자들 사이에서도 그들의 입장이 연속적이거늘, 문화적 다양성의 폭이 하도 넓어서 혹시 장선생이 구축하려는 일반복제자이론에서 그런 일반화의 칼을 꼭 휘둘러야만 하는지, 오늘 밤 이야기를 듣고 싶다. <끝>
과학철학회

되돌아가기

전체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