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완다 대학살 10주기(04년4월) |
이 글은 2004년 4월 르완다 대학살 10주기 추모제를 맞이하여,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지구 땅에서 불과 10년에 지나지 않았던 엄청난 인류 재앙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서방의 매스컴조차 크게 다루지 않은 이유를 분석하기 위하여 쓰여 졌다. 이 때문에 이 글의 참고자료는 영국 BBC와 독일의 몇몇 객관적 언론으로 아주 제한된 서구 언론매체일 수밖에 없었다. 한국의 매체에서는 더욱 다루어지지 않았다. 한겨레와 문화일보에서 10주기 행사내용만 짤막하게 다루었을 뿐이다. 그러나 4.3사태와 광주항쟁을 겪었던 한국인의 입장에서 볼 때 인권과 민권의 영원한 정착을 위하여 르완다 대학살 10주기의 의미는 새롭게 그리고 진지하게 되새겨져야 한다. 특히 선거 때마다 분리주의의 유령이 떠도는 우리 사회에서 불과 10년 전의 르완다 사태는 남의 먼 일로 볼 수만 없다. 분리주의의 악몽 - 르완다 대학살 10주기를 맞아서중부 아프리카 르완다에서 1994년 4월부터 불과 100일 동안 르완다 민중 100만 명이 죽임으로 몰린 대학살 사건 10주년이 되었다. 당시 죽은 100만 명 중에서 30만의 어린이 희생과 10만의 고아가 발생한 인류 최대의 재앙이며 상상을 초월한 죽음의 폭거였다. 10년이라는 짧은 과거임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대중매체들은 이상할 정도로 조용하다. 아마도 못살고 무지한 사람들이 아프리카 어느 구석에서 그들끼리 치고 박은 그들만의 종족투쟁쯤으로 아는 것 같다. 아니다. 100만의 죽음은 서방 제국주의의 오래된 분리주의 식민정책의 결과임을 우리는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벨기에는 1916년부터 1962년까지 40년 가까이 르완다를 지배하면서 철저히 종족 분리정책을 했다. 소수인 투치족에게 종족적 우월성을 부여하고, 종족의 실체를 엄격히 분리하는 신분증을 발급했다. 벨기에는 한쪽에만 경제와 교육의 특혜를 베풀면서, 투치족과 후투족의 반목을 키워갔다. 이러한 지배방식은 이미 영국에 의해 정착된 다단계 식민지배 정책으로부터 배운 것이었다. 종족적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는 다수 후투족의 반발과 분노가 커가는 것은 너무 당연했지만 서방 제국은 그대로 방치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었다. 르완다 종족 간 내부 반목을 확대 조명함으로써 식민 지배의 합리화 명분을 국제사회에서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후투족의 사회적 분노는 투치족 2만 명이 살해된 1959년 대규모 항쟁 이후 끊임없는 내전으로 이어졌다. 결국 94년 4월 하바리마나 대통령 암살 사건 직후 순식간에 르완다 전국은 죽음의 불구덩이에 빠졌다. 이후 프랑스는 과거사를 묻지 않은 채 당시 암살사건 책임을 현 대통령에 전가하는 발언을 서슴치 않았고, 벨기에는 그들의 군인 8명이 죽자 일체의 간섭을 회피했으며, 당시 유엔 안보리는 100만 명이 죽어가는 현장을 옆에 두고서도 눈과 귀를 막고 있었다. 대학살 사태의 이면에는 서방의 분리주의 식민정책이 역사적 원인임을 잘 알기 때문이었다. 그 역사적 피폐는 르완다뿐만이 아니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친미국가였던 라이베리아 역시 찰스 테일러 대통령이 1989년 집권한 뒤 지금까지 50만 명이 죽었다. 미국은 아프리카의 교두보를 확보하는 대신에 그들의 독재정권을 눈감아 주었다. 서방세계는 라이베리아 내전을 그들만의 종교전쟁이라며 무관심으로 일관하지만, 그들의 필요성이 있는 이라크에서는 엄청난 전쟁을 벌이고 있다. 언제나 그러했듯이 미국의 양면성이 드러나는 모습이었다. 라이베리아 내전은 이미 시에라리온, 기니, 코트디부아르에 영향을 주어 그곳에서도 지금 무고한 민중들이 죽어가고 있다. 평화로웠던 콩고민주공화국도 역시 내전에 돌입했다. 소말리아 이후 중서부 아프리카에서만 지금껏 내전으로 4백여만 명의 목숨이 사라졌다. 그들은 전쟁만이 아닌 기아와 에이즈에 방치된 채 끝없는 죽음으로 내몰리고 있다. 강대국들의 자기중심적 오만과 분리주의 식민정책의 결과가 오늘의 중동 및 아프리카의 불행을 낳은 것임을 처절히 인식해야 한다. 우리 한국인의 입장에서 볼 때 르완다 대학살 10주기는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29주기를 맞은 인혁당 사건 등과 같은 수많은 용공조작에서부터 광주항쟁과 4.3 사태 안에는 무시무시한 분리주의의 유령이 씌워져 있기 때문이다. 분리주의의 위탁자들은 오늘도 역시 색깔의 분리, 지역의 분리를 조장하고 있다. 어렵사리 이끌어낸 민주화의 어린 싹이 지금 그 분리주의의 악몽에서 발버둥대고 있다. 우리는 권력 속에 숨겨진 분리주의의 썩은 뿌리를 과감히 도려내야 한다. 선거가 끝났지만 그 일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한겨레신문 4월16일, 게재글, 최종덕 씀) -관련 본인 논문 녹색평론 04년 5-6월호 참조 -첨부파일 |
한겨레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