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의 철학 -질병의 과학과 인문학
의학의 철학

최종덕 씀, 씨아이알 출판사, 2020년 7월 8일

<목차>

추천서문1: 제임스 마컴 교수 (Prof. of Philosophy of Medicine at Baylor University, USA) -#첨부파일

추천서문2: 강신익 교수 (부산대 치의학전문대학원 의료인문학 교수) -#첨부파일

서문
1.  의철학이란 무엇인가
2.  의철학의 시선과 의학 플랫폼
3.  『의학의 철학』의 인식론적 지도
4.  『의학의 철학』이 던지는 질문들

감사의 글

『의학의 철학』을 읽는 매뉴얼

1장  의철학 논쟁과 인문의학의 과제

1. 의철학의 학문 고유성 논쟁
1.1  의철학의 고유한 영역은 없었지만 앞으로는 가능하다는 입장
1.2 의철학의 고유영역이 존재한다는 입장

2.  펠리그리노 의철학의 인식론적 범주
2.1 의학의 철학, 의학과 철학, 의학에서 철학
2.2  의철학의 정의: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크다.

3. 의과학과 생의학 모델
3.1 생의학 모델이 형성된 역사
3.2 의과학에 기초한 생의학 모델
3.3  고로비츠와 맥킨타이어의 겸손한 의과학

4.  인본의학 모델
4.1 의학에서 인본주의(휴머니즘)
4.2  샤론의 서사 의학
4.3 마컴의 인본의학

5. 통합 모델
5.1  커닝엄의 통합모델
5.2  느낌과 측정: 카셀의 통합

6.  의학은 가치중립적일 수 없다는 논점
6.1  의학의 사회경제적 관점: 포어스트로우엄의 입장
6.2  환자는 분석적 객체가 아니라는 관점: 먼슨의 입장
6.3 해석적 실천행위로서 의학

7.  인문의학의 방향과 과제
7.1  인문의학의 범주와 정의
7.2 인문의학에 대한 오해
7.3  인문의학의 지향

8.  의철학이란 무엇인가

2장 의학적 추론, 인과론, 의료인공지능

1. 의학적 추론
1.1 방법론으로 본 추론 유형: 가설연역추론과 귀납추론
1.2 인식론으로 본 추론 유형: 논리추론과 상황추론
1.3 존재론으로 본 추론 유형: 근연 인과추론과 다중 인과추론
1.4 우회적 인과추론과 직접적 인과추론

2. 임상 추론
2.1 인과성, 연관성과 상관성
2.2 힐의 인과성 조건
2.3 진화적 인과

3. 진단 추론과 판단, 의사결정
3.1 진단의 의미
3.2 진단 추론
3.3 병태생리학적 진단추론
3.4 근거기반 의학
3.5 진단절차와 진단오류
3.5.1 진단추론의 사다리
3.5.2 오류추론 피하기

4 역학조사 추론 유형
4.1 대조군조사 추론과 코호트조사 추론
4.2 리스크 요인의 인식론적 측면
4.2.1 흡연과 폐암
4.2.2 콜레스테롤과 심혈관질환 : 지질 가설과 콜레스테롤 논쟁
4.3 리스크 요소들을 활용하는 몇몇 추론

5. 발견술의 추론

6.  의료 인공지능: 의학적 지식공학
6.1  의료지식공학의 확장
6.2  인공지능 추론의 유형
6.3 의료 알고리즘의 논리적 기초
6.3.1  신경망 알고리즘의 탄생
6.3.2  심층신경망 구조
6.3.3  심층논리: 반복, 가중, 중첩
6.4  인공지능의 의학적 적용
6.4.1  심층지능과 영상의학
6.4.2  인공지능의 일반 적용
6.5  의료인공지능에 대한 철학적 성찰

3장  분류 의학과 의학 실재론 논쟁

1. 분류 의학의 존재론적 기초
1.1 분류와 논리
1.2 분류의 존재론 혹은 형이상학
1.3 플라톤의 실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질 그리고 실체
1.3.1 실재
1.3.2 본질
1.3.3 실체
1.4 종 분류와 질병 분류에서 본질주의

2. 본질주의를 탈피하려한 뷔퐁의 유명론

3. 현대 의학 실재론과 반실재론 논쟁
3.1 과학적 실재론과 의학 실재론
3.2 반실재론
3.3  슈템시의 가치의존적 실재론

4. 19세기 과학 인식론과 근대의학으로 가는 이행기
4.1  다원주의 사회로 가는 이행기
4.2  19세기 과학의 양면성
4.3  19세기 의학의 양면성
4.4  의학적 인식론에서 분류 의학으로

5.  현대 분류의학
5.1 질병 분류
5.2 분류 개념의 논리 추론
5.3  정신질병의 사례

4장  질병관의 역사와 질병모델

1. 질병 개념의 이해
1.1 질병의 블랙박스
1.2  질병과 건강의 관계

2.  질병 개념의 역사
2.1  하네만 의학의 양면성과 질병의 존재론
2.2  베르나르의 결정론적 질병관과 기초생리학
2.3  깡귀엠의 질병관

3. 질병을 이해하는 다양한 모델

4.  과학주의 생의학 모델
4.1 생의학적 질병관 일반
4.2  보어스의 생물통계모델, BST
4.3  보어스의 생물통계이론을 비판하는 반대 의견

5.  문화주의 모델
5.1  문화주의 질병관
5.2  보이드와 보르크의 문화사회적 질병관

6.  인본주의와 문화주의 입장에서 본 질병과 질환 개념의 차이

7.  통합주의 모델: 문화주의와 과학주의의 결합

5장  의료인류학과 건강생성 모델

1.  의료인류학
1.1  의료인류학의 정의와 범주
1.2  윙클맨의 질병관과 문화 모델
1.3  의료인류학 연구의 확장 사례
1.4  의료생태주의

2.  의료인류학적 플라시보 연구

3.  의료인류학과 역학이 만나는 질병 분류

4  민족의학의 질병관
4.1  퀸란의 질병관 해석
4.2  민족의학의 보편적 이해
4.3  소통과 번역의 사례 : 문화의존 증후군

5.  건강생성 모델
5.1  안토노프스키의 건강생성 패러다임
5.2  건강과 질병의 발달기원 가설(DoHAD)
5.3  생애건강발달 모델 (LCHD)

6.  공중보건 모델

6장  진화론과 의학의 관계사: 현대 진화의학 이전까지

1. 진화론과 유사진화론
1.1  찰스 다윈 이전 라마르크의 진화사상
1.2  찰스 다윈의 진화론
1.3  다윈 시대 의과대학의 진화론 교육
1.4  스펜서의 진화론
1.5  우생학으로 왜곡된 사회진화론

2.  사회진화론 의학: 1880년대-1940년대
2.1 사회진화론 의학의 존재론과 인식론
2.2  사회진화론 의학의 질병관
2.3  사회진화론 의학의 사회적 오류
2.4  사회진화론 의학의 소멸

3.  20세기 초 진화론
3.1  의과대학에서 밀려난 진화론
3.2  신라마르크주의와 우생학

7장  진화의학 I : 질병취약성과 불일치모델

1  진화의학의 배경
1.1  진화의학의 뒤늦은 탄생
1.2  진화의학의 진화생물학적 배경

2  진화의학 기초론
2.1  진화의학의 기초 문헌
2.2  진화의학의 정의와 인식론
2.3  진화의학의 질병관
2.4  진화의학의 신체관
2.5  진화의학의 방법론

3.  질병의 진화론적 원인
3.1 형질의 트레이드오프 
3.2  진화의 불완전성으로 인한 질병 취약성

4.  다양한 진화의학의 해석들
4.1  불일치(미스매치) 이론
4.2  그리브즈의 진화의학
4.3  잼피에리의 진화의학과 문화 질병
4.4  질병의 6 가지 진화모델

5. 구석기인의 건강 상징
5.1  구석기인의 몸
5.2  신석기인의 변혁
5.3 구석기인과 현대인의 섭식 차이

6. 몸의 진화와 문화변동
6.1  문화변동으로 인한 고고학적 불일치 가설
6.1.1  발생학적 불일치
6.1.2  구조적 불일치
6.1.3  위생가설
6.2  절약유전자 가설
6.2.1  니얼의 절약유전자
6.2.2  실제로 절약유전자가 실재하는가?
6.3  할머니 가설
6.4  신체변화의 사례: 붉은 고기, 초경기

7.  진화의학의 스펙트럼

8장  진화의학 II : 진화역학과 감염성 질병, 의학교육

1.  바커의 절약표현형 가설
1.1  절약유전자 가설에서 절약표현형 가설로
1.2  바커 가설에 대한 글루크만 해석

2.  감염성 질병에 대한 진화의학과 역학
2.1  이워드의 진화역학
2.2  증상이란 무엇인가
2.3  길들이기: 심각한 증상에서 부드러운 증상으로
2.4  감염성 질병의 독성 이해
2.5  공생의 유전생태학
2.6  탈인간 중심 진화의학

3. 진화의학에 대한 비판 의견
3.1  지질학적 급변이 가져온 비적응주의 진화의 가능성
3.2  진화 경로와 시기를 혼돈하면 안 된다는 견해
3.3  발생생물학의 진화의학
3.4  적응주의가 만능해석이 아니라는 견해

4. 진화의학이 임상의학에 진입하지 못하는 이유들
4.1  진화의학의 인과관계
4.2  진화의학과 임상의학 사이의 충돌과 접점
4.3 진화의학이 의학교육에 도입되어야 하는 이유

9장  면역의학의 철학

1.  면역학적 사유체계의 철학적 의미
1.1  면역학의 존재론
1.2  면역학의 인식론
1.3  면역학자 버넷의 자기와 비자기 공생
1.4  면역의 특성과 주요 개념

2.  면역의학의 사례와 진화의학의 연관성
2.1  사례1: 자가면역질환
2.2  사례2: 항생제 내성
2.3  면역의학의 진화론적 배경

3.  위생가설 기반 면역의학
3.1 박멸 혹은 공존
3.2  공진화와 공생의 차이, 그 철학적 의미
3.3  위생가설과 숙주-기생체 관계
3.4  자기방어의 철학

4. 면역논리의 대항관계 그리고 돌연변이
4.1 돌연변이
4.2  돌연변이율
4.3  확률게임

5.  기생체 생존전략 해석
5.1 병원체와 항생제의 충돌
5.2  숙주에 대항하는 방법
5.3  기생체의 생존전략: 제압, 회피, 중화 전략
5.3.1  회피 전략
5.3.2  제압 전략
5.3.3  중화 전략과 숙주 관용

6. HIV 사례연구
6.1 HIV군의 공격전략과 치료의 방어원리
6.2 바이러스를 속이는 약제 AZT의 기만 전략
6.3 약제의 기만 전략에 역대응하는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6.4  다중내성에 대한 면역학적 사유의 관점

7.  공존의 존재론
7.1 변화의 철학, 면역학적 사유
7.2  면역학적 생태주의와 공존성

10장  노화방지의학에서 노화의학으로

1. 욕망과 소외
1.1 과학-실존-사회의 삼각대
1.2 삶의 욕망과 죽음의 현존

2.  야생종이고 싶지 않은 문화종의 욕망

3.  노화, 유전과 환경의 복합적 요인

4.  텔로미어 이론
4.1  텔로미어 이전의 헤이플릭 한계이론
4.2 현대 텔로미어 이론

5.  칼로리 제한이론과 세스트린 단백질, 활성산소 이론

6.  세포사멸로서 노화
6.1 세포사멸의 메커니즘
6.2  암의 사례로 본 세포사멸

7.  노화의 진화론적 해석
7.1  트레이드오프로서 노화
7.2  암에 대한 진화생태학적 해석과 반론
7.3  노화이론 세 가지: 해밀턴, 윌리엄즈, 스턴즈

8.  발생학적 경로와 후성유전학으로 본 노화

9. 노화의학의 특징들
9.1  노화의학의 중층성: 연쇄관계와 상반관계
9.2  몸의 개방성
9.3  노화방지의학에서 노화의학으로
9.4 노화의학의 철학

11장  분석과 해석: 의과학과 의철학의 접점

1.  분석과학의 의과학과 해석학적 의철학

2.  설명 장르와 이해 장르

3.  이해의 철학 - 해석학적 의학

4.  의료 현상학 : 노에마와 에포케
4.1 노에마와 에포케
4.2  “87세, 내 나이가 어때서”

5. 몸에 대한 이해와 해석: 마컴의 현상학 모델

6.  의학을 접근하는 플랫폼으로서 의철학


참고문헌
인명 색인
주제 색인
씨아이알출판사

되돌아가기

전체목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