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한반도와 생명철학: 한반도 생명선 프로젝트 제안
ecological unification

통일한반도와 생명철학 : 생명철학기반 통일담론과 그 실천모형

1.  생명철학 기반 통일담론
2.  생명철학 : “생명”의 철학적 의미
3. 생명철학에서 통일담론으로
4. 통일담론의 실천적 조건들
4.1  다양성과 평등성: 특이성의 실천적 조건
4.2  (상리) 공생성과 존중성 : 상관성의 실천적 조건
4.3  교환성과 자주성(연속성) : 순환성의 실천적 조건
4.4  통합성과 세계성 : 생명의 역사성에 따른 실천적 조건
5.  생명철학 기반 통일정책이 가져다주는 실질적 효과
6. 생명철학기반 통일담론의 실천모형 사례 : 통일한반도 그린벨트 프로젝트(CPLK Project)

가칭 “한반도 평화상생 생명선” 프로젝트 (Coexistent Peace Lifeline of Korea)를 사례로 들 수 있다.
기존의 휴전선 지대(238km), 백두대간(1625km), 한반도와 중국/러시아 국경선 지대(  1672km) 출처: "Land boundaries", CIA World Factbook 2016
를 그린벨트지역으로 조성하는 동아시아 중장기 협력사업 형태로 구상된다. 지정학적으로 그린벨트 개념은 생명철학적 “생명선”Life-Line개념 위에서 그 실천가능성이 담보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 말해서 지정학적으로 백두대간 그린벨트, 휴전선 그린벨트, 국경선 그린벨트로 구분되며, 생명철학적으로는 통합의 생명선, 치유의 생명선, 소통의 생명선으로 구성된다. 

통합의 생명선 :
(1) 백두대간 그린벨트 지역이며,  지리산에서 향로봉까지의 백두대간 남쪽 690km 구간과 향로봉에서 백두산까지의 백두대간 북쪽 935km 구간으로 나뉜다.
(2) 한반도 깃대종 생태계로 조성한다.
(3) 맨 북쪽의 범(시베리아 호랑이)과 맨 남쪽(고성)의 공룡발자국 화석에 이르는 시공간의 통합적 상징을 담아내는 국제적 생태보전지역으로 조성한다. 


치유의 생명선 :
(1) 휴전선 그린벨트로서 248km 구간이다.
(2) 분단의 아픔을 치유하고, 분단의 역사를 기억하고, 통일의 미래를 구상하는 한민족의 미래형 생태적 니치niche를 구축한다. 

소통의 생명선 :
(1) 국경선 그린벨트 : 백두산 서쪽 국경선 구간: 백두산에서 신의주까지 국경선 서쪽 900km 구간과 백두산 동쪽 국경선 구간: 백두산에서 신의주까지 국경선 동쪽 600km 구간으로 나뉜다.
(2) 중국내륙 사막화방지 연구단지, 만주시베리아 침엽수생태계 연구단지, 범지구적 탄소감축과학단지 등의 기후변화 과학기술연구단지를 국제네트워크 방식으로 조성하며, 국제자연보전지역을 만든다.

전문은 아래 pdf





통일인문학연구단 학술심포지엄

되돌아가기

전체목록 페이지